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 기준 마련· 합동 모의 훈련 등
지난 1월 23일부터 25일까지 기록적인 한파와 폭설로 제주국제공항이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 이를 예방하기 위해 도내 3개 기관이 발 벗고 나선다.
오는 17일 도청 삼다홀에서 원희룡 도지사와 박성진 제주지방항공청장, 민병훈 한국공항공사제주지역본부장 등 3개 기관장이 항공기 결항 시 체객 불편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3개 기관은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상황을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나눠, 각각의 매뉴얼을 수립했다.
관심 단계는 결항 항공편 예약인원 1000명 이상 발생 또는 출발 항공편 5편 이상 연속 결항 또는 운항중단 경우이며, 주의 단계는 결항 항공편 예약인원 3000명 이상 또는 청사 내 심야 체객 발생 경우다.
이 같은 단계에는 제주지방항공청과 공항공사제주본부가 서로 협의해 자체 매뉴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주도는 필요시 숙박안내 및 교통지원 등 행정지원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주의단계에는 각 기관별 대책반이 운영된다.
경계 단계는 당일 출발예정 항공편 50% 이상 결항·운항중단이 예상되거나 청사 내 심야 체객 50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심각 단계는 당일 항공편 전면 결항 및 운항중단이나 익일 항공편 결항이 예상되는 경우 또는 심야 체객이 1000명이상 발생하는 경우다.
경계 단계부터는 3개 기관 합동 종합지원상황실을 운영한다. 또 임시편 운항 및 공항 내 상업시설 영업시간 연장, 의료·숙박안내·교통지원, 자원봉사, 외국어 통역 지원 등 각종 불편에 대비하기로 했다. 심각 단계에는 이를 확대 운영해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비한다.
각 기관은 모포·매트 등 지원물자를 사전에 확보·비축하고, 민간업자·단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유사시 신속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 항공기 비정상 운항 상황을 가정, 년 1회 이상 합동 모의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