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포획 정책’ 나침반 없는 항해 우려
‘노루포획 정책’ 나침반 없는 항해 우려
  • 제주매일
  • 승인 2016.0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노루포획정책이 신뢰성을 의심받고 있다. 제주도가 발표한 적정 개체수는 물론 현 개체수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해 정책 방향조차 가늠하기 힘들어 보인다.

제주도는 지난 11일 애월읍사무소에서 ‘노루 적정 관리 대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3년 한시적으로 시행 중인 노루포획 정책이 오는 6월 말 종료됨에 따라 정책의 지속 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의 자리였다.

행정이 발표한 적정 노루 개체수는 6110마리다. 노루포획 정책을 준비하던 2011년에는 적정 개체수가 3300마리였다. 5년새 제주에서 인간과 ‘공생’ 가능한 노루의 수가 갑절로 늘어났지만 합리적인 설명은 고사하고 증가 사실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고 한다.

개체수 조사결과도 믿음이 가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2009년 1만2881마리에서 2011년 2만570마리로 정점을 찍은 뒤 2013년 포획정책 시작이후 2년여의 포획으로 지난해 7600마리까지 줄었다고 했지만 감소에 대한 ‘합리적인’ 증거가 없다.

제주도가 제시한 자료에는 2012년까지 연평균 1000여 마리였던 노루 사망률(10%)이 2013년부터는 적용하지 않고 ‘공란’이었다. 2013년 737건 이후 매년 300~400건씩 발생한 기타 피해도 2011년과 2012년에는 공란으로 남겨지는 등 자료 곳곳에 구멍이다.

결국 2015년 현재 개체수 7600마리와 2011년 2만570마리 사이의 ‘오류’를 덮기 위한 짜맞추기라는 의심을 받고 있다. 사실 들개 등에 의한 피해를 2013년 737마리로 표시했는데, 이렇게 단단위까지 확인하기는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다.

적정 개체수 또는 종전 개체수 산정에 실수가 있었다면 솔직히 실수를 인정하고 새롭게 자료 축적에 나설 것을 주문한다. 확실하지 않은 자료를 근거로 하는 정책 추진은 나침반 없는 항해와 다를 바 없다. 얼마나 많은지 정확히 알 수 없다면 잡아야할 목표를 세울 수조차 없다. 보다 확실한 신뢰 자료의 확보와 정책 추진을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