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급한 정책보다 문화생태계 실태 파악이 우선” 지적도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며 창작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지역 문화예술인들이 안정적인 창작활동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앞서 예술인들의 처우와 인프라 등 실태 파악을 위한 ‘문화생태지도구축사업’을 완료해 이들이 자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예술인들의 복지와 창작활동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도 ‘문화생태지도구축보고서’에 이어 문화체육관광부의 ‘2015 예술인 실태조사’가 발표됐다.
문체부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전라 지역 예술 활동으로 수입이 없는 예술인은 59.0%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제주도가 진행한 문화생태지도 보고서에서도 예술인들은 적은 소득으로 인해 예술을 주업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단편적인 수입 비교만으로도 제주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환경은 열악한 것으로 시사됐다. 이에 문화예술계에서는 예술인들의 공공적 수요를 높이는 문화관련 직종 및 민간기업 수요 확대, 예술 시장 조성, 앙떼르미땅(예술인 사회보험제도) 등 단발성 정책이 아닌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박경훈 전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문화예술계가 발전 하려면 예술인들이 자신의 전공으로 생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제도가 뒷받침 돼야 하지만 당장은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기초 데이터를 구축해 예술인들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문화생태지도구축사업은 계획된 예산이 절반 삭감되면서 예술인 실태조사에 만족해야 했다. 제주도는 올해 추경 예산을 확보해 2차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를 추진하는 행정 노력 없이는 반쪽짜리 사업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역문화진흥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간 문화격차 현황 등 필요한 사항을 5년마다 조사하도록 하고 있는 만큼 사업이 완료되면 2~3년을 주기로 변화 추이를 조사하도록 하는 작업도 이어져야 한다고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