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완화 ‘효율성 차원’서도 필요하다
고도완화 ‘효율성 차원’서도 필요하다
  • 제주매일
  • 승인 2016.02.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원도심권 활성화는 여태껏 모든 행정 책임자의 현안이자 시민들의 ‘숙원’이다. 제주시 시가지의 급속한 수평적 확장에 따라 원도심은 공동화 등으로 생기를 잃은 지 오래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보여주는 원도심권 활성화 행보는 아주 적절하다 할 것이다. 특히 지사의 의지가 구체적이어서 오랜 세월 원도심 문제로 속을 앓고 있는 시민들은 쌍수를 들어 환영할 것 같다.

원 지사는 지난 주말 제주시 ‘원도심 성굽길’을 답사했다. 현장을 직접 보는 것을 넘어 원도심 활성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의 표현에 다름 아니었다.

이날 원 지사는 제주시 원도심 비활성화의 ‘상징’인 시민회관에 대해 주민들의 동의가 있을 경우 재개발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필요하다면 구도심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침을 적극 환영한다.

그리고 지사가 강조하고 있는 ‘원도심 도시 밀도 관리’를 위한 고도완화의 필요성에도 공감한다. 원 지사는 지난 24일 건설·도시 분야 공무원 합동워크숍에서 “원도심 고도를 묶어놓은 상태서 투자할 사람은 없다”며 “제주사회와 공존할 수 있다면 규제를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확히 맥을 짚은 분석이라고 본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재개발도 당위성만으론 안된다. 자본이 필요하고, 그 자본을 움직이기 위해선 메리트가 있어야 한다. 주민들이나 개발업자나 뭔가 남는 게 있어야 한다. 확실한 동기 부여 대책이 고도완화가 될 수 있다.

특히 고도완화는 ‘한정된 토지의 섬’ 제주가 지향해야할 개발 방향이기도 하다. 도심 중심가에 공동화 현상마저 발생할 정도로 수평적 팽창이 이뤄진 만큼 이제는 토지이용 패러다임을 바꿔야할 때다.

지사의 말처럼 고도완화를 통한 원도심 중심의 수직적 성장이 답일 수 있다. 이는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상하수도와 전기 등 도시인프라의 활용도도 제고하면서 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일석삼조(一石三鳥)의 정책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