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 행정·문화공간 구분…공유형 서점·컨테이너 아트홀 등 제안

도내 조성된 ‘문화의 거리’들은 콘텐츠 부족과 유지 관리 미흡 등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 가운데 제주도는 최근 용역을 통해 개선 방향 모색과 신규 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 관건은 추진 동력이다. 문화의 공간은 지자체의 의지와 함께 주민 참여가 이뤄질 때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용역 결과를 통해 ‘문화의 거리’ 현실과 개선점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제주도가 제주시청 대학로 일대를 시민들의 담론을 모으고 문화 공간을 향유 할 수 있는 ‘광장’으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해 문화예술의 거리 조성 및 운영기본계획수립을 위해 (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한 바 있다.
연구팀은 지난 26일 제주시청 부지가 있는 지역은 ‘행정업무문화공간’으로, 길 서쪽 지역은 ‘생활문화공간’으로 각각 성격을 달리해 문화의 거리로 조성하는 연구계획안을 도에 제출했다.
연구팀은 제주시청 부근을 상업지로서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문화와 예술적 활동의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계획안은 제주시의 시민광장 조성 계획과 함께 진행된다. 지난해 제주시는 옛 종합민원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현재 어울림 마당 5배 크기인 시민광장(1453㎡)을 오는 11월쯤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연구팀은 “1997년 시청 담장을 허물면서 만든 ‘어울림마당’이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문화 공간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며 “세계의 시청 앞 광장들이 모두 시민문화광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우리의 현실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에 현재의 계획을 대폭 수정해 주차장 부지 전체와 현재 종합민원실, 그 뒤 부속 건물까지 철거하고 약 5400㎡(1630평)의 넓은 면적을 문화예술인과 시민, 대학생들의 자생적인 시민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광장’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또 행정시설 및 주변시설 이용객들이 모이고 다양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광장’ 조성을 위해 일방통행과 보행자 전용 도로를 적절히 섞어 차량통행 흐름을 통제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생활문화공간은 대학로의 의미를 품을 수 있도록 문화공간의 확장을 주문했다.
현재 제주시청 일대는 대학생들이 몰리며 일명 대학로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공간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일본 도쿄 지식인들의 단골 문화 집객소로 불리는 일본 대형서점 마루젠처럼 공유형 대형서점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시청부근 건축물을 공공 임대·매입해 컨테이너 아트홀을 조성, 다양한 문화적 실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연구팀은 “컨테이너 건축물은 경제성, 친환경성, 주목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며 “대학로의 창의적 청년문화 공간으로 운영한다면 단기간 내에 청년문화 플랫폼으로서의 장소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용역 결과에는 도내 23개 ‘문화의 거리’ 개선 방향도 담겨 있어 향후 토론회 등을 거쳐 신규 사업 추진 여부와 함께 사업을 재정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