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이용자 ‘역불편’…시간제한도
제주교통약자이동지원 특별교통수단의 이용대상이 확대됐지만 관련 인프라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의욕만 앞선 복지’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10년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센터장 강석봉)에서 1·2급 장애인 등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 특별교통수단차량을 도입했다.
도입 당시 5대였던 특별교통수단차량은 2014년 40대로 점차 늘었고, 이에 따라 특별교통수단 이용대상도 단계적으로 확대됐다. 이용대상은 2005년 1·2급 지체·시각·뇌변병장애 등 3개 유형에서 2014년 신장·지적·자폐장애가 추가된 6개 유형으로, 지난해에는 15개(전체 유형)까지 늘었다.
2011년부터는 휠체어 이용 고령자 및 임산부 등 비장애인의 이용도 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도내 1·2급 장애인 7000여명을 기준으로 확보된 차랑 40대로는 도내 교통약자 이용대상 9만여명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운영시간도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로 제한돼 심야 및 새벽시간에는 이용을 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수용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않은 상황에서 이용대상을 늘리면서 기존 휠체어 이용자들이 역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다른 교통약자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게끔 이용대상을 확대한 것인데비휠체어 이용객이 늘어나 기존 휠체어 이용객들이 불편해하는 것”이라며 “이들 모두 함께 이용하려면 서로 배려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예산과 인력을 확보해 비휠체어 이용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임차택시 도입, 대중교통 개선 등을 통한 교통 여건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1일 제주도는 올해 128억원을 투입해 저상버스 맞춤용 승차대 등 교통약자 편의를 위한 대중교통 시설을 개선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