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10명 가운데 3명 이상은 전문외상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을 경우 살 수도 있었던 사람으로 조사되면서 권역외상센터의 중요성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지난 19일 제주한라병원 주최로 열렸던 ‘제주권역외상센터, 어디로 어떻게 가야할 것인가’ 심포지엄에서 김현 강원영서권역 응급의료센터장은 2009년 우리나라 중증외상환자의 예방사망률이 35.2%라고 발표했다.
김 센터장에 따르면 중증외상환자 100명 가운데 35.2명은 충분히 살릴 수도 있었다. 이 가운데서도 4명은 확실히 살릴 수 있는 사람이었고 31.2명도 골든타임(1시간) 내에 적절한 처치를 했을 경우 생명을 구할 수도 있었던 환자였다.
중증외상환자 100명 가운데 35명 이상이 살 수도 있음에 ‘억울한’ 죽음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정부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 2012년부터 1년 365일·하루 24시간 교통사고·추락 등으로 인한 중증외상환자를 병원 도착 즉시 응급수술이 가능하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장비·인력을 갖춘 권력외상센터 선정 및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시행 첫해 5개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전국에 15개의 권역외상센터가 지정됐지만 제주는 아직이다. 제주지역에선 지원사업 첫해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도전했으나 번번이 탈락했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것은 중증외상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외과전용 치료센터인 권역외상센터가 제주에 없는 데도 손을 놓고 있는 듯한 제주도의 의료행정이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중증외상환자 가운데 공무원 자신 또는 가족이 포함될 수도 있다면 이렇게 여유롭지는 않을 것이다. 결국 민심과 이반된 행정인 셈이다.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제주에서도 권역외상센터의 부재로 인해 ‘억울한’ 죽음을 맞는 사람이 생기지 않도록 행정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한다. 특히 권역외상센터를 경제적 시각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인프라 차원에서 바라봐야 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