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를 둘러싼 갈등이 공사가 마무리된 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오는 26일의 준공식(竣工式)에 맞서 반대대책위도 ‘강정 생명평화 문화마을 선포식’을 갖기로 해 자칫 물리적 충돌마저 우려된다.
해군 등에 의하면 착공 6년 만에 모든 공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26일 오후 2시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아직 정부 측 참석 인사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박근혜 대통령 대신 황교안 국무총리의 참석이 유력시되고 있다.
물리적 충돌이 우려되는 것은 준공식이 열리는 날 같은 시각에 제주해군기지 정문 앞에서 ‘강정 생명평화 문화마을’ 선포식(宣布式)이 개최되기 때문이다. 이번 행사 일정은 우연히 겹쳐진 게 아니다. 조경철 강정마을회장은 “일부러 제주해군기지 준공식 날짜에 맞춰 선포식을 개최하는 것”이라 밝히고 있다.
반대대책위는 이날 제주해군기지 반대 입장을 재차 천명함은 물론 ‘군사 문화’가 마을의 고유 영역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문화적 전통을 계승·유지하는 사업추진 계획을 밝히게 된다. 특히 ‘생명평화문화마을 강정(江汀)’이 새겨진 비(碑)도 해군기지 정문과 마주보도록 추후 조성할 예정이다.
강정마을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 기조는 여전하다. 해군기지 완공과 무관하게 자기반성과 사과조차 없는 해군과는 결코 공생(共生)하거나 공존(共存)할 수 없음을 분명하게 천명하고 있다. 설혹 공동체회복 지원 사업이 이뤄지더라도 이러한 기조 위에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향후 활동 또한 해군기지 확장 저지와 환경감시 활동으로 전환키로 했다. 해군기지로 인한 주민민원 발생 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 생명평화 문화마을 사업 추진도 유흥 및 향락산업 등 ‘군사(軍事) 문화’가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문화특구’로 가기 위한 일환이다.
제주해군기지는 완공됐지만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아니 방향과 방법만 다를 뿐 ‘새로운 시작’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정부나 제주자치도 등 누군가가 해법(解法)을 내놓지 않는 한 ‘강정의 평화’는 아득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