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앞두고 제주지역 언론이 실시한 ‘4·13총선’ 여론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들의 강세로 나타났다. 무주공산(無主空山)인 서귀포시 선거구도 더민주당이 우세를 보였다.
1위를 차지한 강창일·김우남 의원과 문대림 전 제주도의회 의장에 대한 선호도는 대략 21 ~ 25%선. 그러나 안심할 계제는 아니다. 특히 새누리당 예비후보들의 선호도를 합하면 세 곳 모두 40%대를 상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당의 경선(競選)이 끝나야 당대당 대결, 즉 본격적인 승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국면을 전환할 ‘특화(特化)된 공약(公約)’은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각 후보들은 제반 공약을 내놓으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앞선 선거에서 거론됐거나 지역현안으로 분류되는 것들이 대부분으로 새로운 내용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들이 제시하는 공약도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감귤 등 1차 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모두가 귀에 익은 것들이다. 정당 구분 없이 감귤에 대한 최저가격 보장제를 도입하고, 주거안정의 경우 공공임대주택으로 문제를 풀겠다는 것이 주류다. 그러나 공공임대주택만 하더라도 제주자치도가 이미 추진 계획을 보다 자세히 밝힌 바 있어, 새로운 공약이라고 보기엔 의문이다.
다만 각 선거구별로 이해관계가 걸린 부분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제주시 갑 선거구는 제주서부지역 발전과 노형·연동을 중심으로 한 교통체증 해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제주권 인구 밀집으로 인한 여중고 신설 등의 약속도 공통 분모다.
또 제주시 을 지역은 원(原)도심 활성화와 제주신항만 계획, 제2공항 건설에서 기대되는 이익을 동부지역 발전과 연계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다. 서귀포시 선거구는 감귤산업 육성과 함께 선거철 단골 메뉴인 남·북 균형발전을 또다시 거론하고 있다.
이번 ‘4·13 총선(總選)’은 인물보다 ‘당대당 대결’로 치달을 공산이 크다. 어느 당이 보다 새롭고 참신한 공약을 내놓느냐에 따라 승패(勝敗)가 갈릴 수도 있다.
설 연휴를 통해 ‘민심(民心)’의 향배가 어디에 있는지는 각 후보들이 어느 정도 알 것이다. 4·13총선은 이제 두 달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