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만남 이어 6일 교육청 최종 입장 주기로

영어회화전문강사들의 계약 종료를 고지한 제주도교육청과 민주노총 등 시민사회단체간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지난 달 4일 도교육청 앞 천막농성에 돌입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 등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3~4일 교육청과의 교섭이 결렬되자 4일부터 노숙 밤샘 농성을 시작하며 시위 수위를 높였다.
이석문 교육감은 앞서 2일 기자들과 만나 영전강 문제는 설 전에 마무리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고, 시민사회단체 측도 명절 전 해결을 주장했지만 양 측의 주장은 팽팽한 긴장감 속에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5일 교육청으로 들어서는 이 교육감과 교육청 직원 및 시민사회단체 간에 밀고 말리는 몸싸움이 멀어지면서 교육청 본관 출입구 일대는 아수라장이 됐다.
▶교육청-노조 충돌 현장(출처-민주노총)
한 차례 충돌 후 이날 오후 3시 교육감실에서 영전강 대책마련을 위한 교육감과 시민사회단체장들 간 간담회가 어렵게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홍영철 참여연대 대표와 고명희 여성인권연대 대표, 이경선 제주여민회 대표, 고광성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대표, 김정수, 고성봉 제주경실련 대표, 강호진 주민자치연대대표, 박외순 주민자치연대 집행위원장, 김정임 제주여성농민회 회장, 김영민 전교조지부장 등 각 시민사회단체의 장들이 참석했다.
그러나 의견 차이를 좁히는 데는 실패했다.
이 자리에서 이 교육감은 이명박 정부 때 도입된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가 교육법 체체상 맞지 않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관련 법 상 정규수업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교원자격증이 필요하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고, 현재 학교 영어수업이 정규교사와 영어회화전문강사, 원어민 교사 등 너무 다양한 교사 트랙으로 이뤄지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영전강이 애초부터 관련 시행령에 의해 1년 단위로 계약을 맺게 된 제도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측은 도내 영전강 119명의 생계와 삶이 담긴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오전에 있었던 물리적 충돌을 거론하며 도교육청의 이번 결정이 결과적으로 지위가 불안정한 사람들에 대한 해고라는 점에서 교육감이 평소 강조해오던 철학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만남은 초반 대화만 공개됐다.
도교육청은 6일 오후 3시까지 결론을 내리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