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지하상가 ‘타당성’ 정밀한 검토 필요
광양지하상가 ‘타당성’ 정밀한 검토 필요
  • 제주매일
  • 승인 2016.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역 두 번째 지하상가 조성사업이 현실화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제주시는 최근 제주올레파크 개발사업, 즉 광양로터리 지하상가 타당성 용역을 발주했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 의뢰해 광양로터리와 동·서광로 일원에 대규모 지하 주차장과 상가·문화시설 등을 구축하는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로 한 것이다. 용역비(1억2600만원)는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사업 제안자인 (주)제주올레파크가 부담한다.

제주시는 지난해 9월 제주올레파크가 제출한 사전 검토용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부서 간 협의를 거쳐 이번에 타당성 용역에 착수했다. 사업의 현실화 여부를 떠나 제주시지역 제2의 지하상가 필요성 문제가 공론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올레파크는 사업비 2420억원을 투입, 광양로터리 인근 996m 구간 지하에 850면 규모의 주차장과 함께 테마 지하도상가, 문화광장, 한류관 등 복합 문화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방식은 준공 후 일정기간 시설 관리 운영권만 갖는 ‘수익형 민간투자 방식(BTO)’을 제시하고 있다.

제주올레파크는 ‘제주시 원도심(광양) 상권 주변 지역의 고질적인 주차난 해결과 상권 활성화’를 사업 추진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사업의 타당성 판단에 있어서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 및 균형발전의 측면을 가장 우선 고려해야 것이다. 제주시 도심이 확장되고, 중국인 등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일각에서는 새로운 상권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 광양로터리 주변 주차난 해결이 난망한 상황에서 대규모 지하주차장 조성이 일정 부분 설득력을 가지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중앙지하상가 등 다른 상권에 미칠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광양지하상가가 다른 상권과 공존하면서 발전이 가능한지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사업자의 재정 여건도 중요한 검토사항이다. 지하상가 개발사업은 불가피하게 장기간 교통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단 없이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자금력이 필수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