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정(道政)이 들어설 때마다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인사, 탕평인사(蕩平人事)를 다짐했지만. 역대 도정이 그러한 약속을 제대로 지킨 적은 거의 없다.
인사권을 쥔 도지사가 공평무사한 인사를 하지 않으면 그만큼 인사 불이익을 받는 공무원들이 많아지게 되고 아울러 공직자들의 사기에 영향을 주어 업무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주도 공직사회의 청렴도가 해마다 전국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간접적인 원인(遠因)도 어쩌면 올바르지 못한 인사에 있을지도 모른다.
불공평 인사잡음은 원도정(元道政) 역시 예외가 아니다. 원희룡 지사도 다른 역대 지사들처럼 취임 후 공평인사·탕평인사를 다짐했지만 지난 11일자로 단행한 올해 상반기 실·국·과장급 인사를 둘러싸고 말들이 많다. 이번 인사는 ‘공평’도 ‘탕평’도 아닌, “원희룡 지사의 친정체제 구축” 혹은 “그들만의 잔치”라는 평이다. 이러한 혹평이 나오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직무대리’ 지정만 해도 그렇다. 이번 인사에서는 3급 부이사관 자리에 5명, 4급서기관 자리에 11명 등 무려 16명을 ‘직무대리’로 발령했다. 이는 지난 4월 감사원 감사에서 지적한 2014년 9월과 2013년 말 기준 3~4급 직위 각각10명과 6명보다도 6~10명이나 많은 인원이다. 5급 승진 예정자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양토록 하라는 감사원 지적이 무색할 정도다.
기획조정실장 인사를 두고도 말이 많다. 신임 기획조정실장은 ‘원포인트’ 총무과장과 특별자치행정국장 직무대리를 거치면서 서기관 임용 3년 만에 직급으로는 1직급(부이사관), 직위로는 2단계나 고속 상승했기 때문이다. 새로 발령된 서귀포시 부시장의 경우도 비슷하다. 서기관 승진 2년 만에 부이사관급으로 역시 고속 승진했다.
원도정(元道政) 인사에 대한 잡음은 비단 이번뿐이 아니다. 취임직후에도 임기 중인 제주도 산하 공기업·기관·단체장의 사표를 받아 신규 발령하는 과정에서 불공정 인사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었다. 물론 인사는 모두를 100% 만족시킬 수는 없다.
하지만 인사이기 때문에 더더욱 최대한 공평무사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쪽이 있기에 그렇다. 원희룡 지사는 남은 임기 동안만이라도 가장 인사를 공평히 한 도지사로 기록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