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정 對北 구상도 핵실험 ‘직격탄’
제주도정 對北 구상도 핵실험 ‘직격탄’
  • 제주매일
  • 승인 2016.0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희룡 제주도정은 그 누구보다 대북(對北)교류에 적극적이었다. 지난해 11월엔 “최근 5년 동안 남북교류와 협력의 동력이 많이 상실됐지만 도민을 대표해 북측과 언제든지 가슴을 열어 대화하고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강한 의욕을 드러냈었다. ‘분단(分斷) 70년 대북지원 20년’을 기념해 열린 ‘민족화해 제주포럼’ 기조연설을 통해서다.

이어 2014년 민족화해 제주포럼에서 제안했던 ‘남북교류협력 5대사업’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었다. 남북교류협력 5대사업은 △북한에 감귤보내기 추진 △제주~북한 평화크루즈사업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 △한라산-백두산 생태 및 환경보존 공동협력사업 △2016 제주포럼 북측 대표단 참석 등이다.

최근 들어서는 ‘탄소 없는 섬’과 연계한 ‘에너지 협력’도 제안한 바 있다. 모두가 보수 정권 출범 5년여 동안 경색(梗塞)된 남·북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그러나 지난 6일 북한이 4차 핵(核)실험을 강행함으로써 원희룡 도정(道政)의 의욕적인 대북 구상도 물거품이 될 공산이 커졌다. 남·북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북한을 향한 국제사회의 지탄이 쏟아지면서, 비록 인도적인 차원의 사업이라고는 하나 상당부분 그 추동력(推動力)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가장 아쉬운 점은 남북한 교차관광 및 한라-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 등 성사 가능성이 매우 컸던 사업들마저 앞날을 기약하기가 어려워졌다는데 있다. 그렇다고 모든 걸 단념할 계제는 아니다. 제주의 감귤보내기가 단절(斷絶)됐던 남과 북의 끈을 이어왔듯이, 앞으로도 남·북 화해와 교류 협력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