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성평등지수가 뒷걸음질 치며 전국 중하위권에 그쳐, 의식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3일 여성가족부가 내놓은 ‘2014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에 따르면 2014년 제주지역 성평등지수는 전국 중하위지역에 자리했다. 전년도 중상위지역에서 한 계단 내려앉았다.
국가·지역 성평등지수는 우리나라 전체와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파악해 양성평등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점검하기 위한 지표다.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복지, 보건, 안전, 가족, 문화·정보 등 8개 분야 21개 지표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제주는 경제활동(73.7점), 복지(80.6점), 보건(98.5점)분야 성평등지수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지만 나머지 분야는 미흡했다.
특히 사회안전에 대한 전반적 안전의식과 강력범죄 피해자 비율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안전분야는 46.4점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다. 전년도 7위에서 곤두박질쳤다.
이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성범죄와 높은 재범률이 지표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대법원이 발간한 ‘2015 사법연감’에 따르면 2014년 인구수 대비 강간과 추행, 성매매 등 성범죄가 가장 많이 접수된 법원은 제주지법으로, 인구 1000명 당 0.35명 꼴이었다. 또재범률은 10.6%로 역시 전국 최고였다.
이와 함께 제주는 문화·정보분야에서는 79.9점을 받으며 전남(76.1점)에 이어 거꾸로 두 번째로 지수가 낮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 외에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사노동시간 등을 반영한 가족분야는 64.9점으로 9위, 평균교육년수와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을 반영한 교육·직업훈련분야는 92.2점으로 13위에 각각 머물렀다. 광역의원 비율과 5급이상 공무원 비율 등 의사결정분야는 4위를 차지했지만 28.6점에 그쳤다.
여가부 관계자는 “의사결정, 안전 등 모든 분야의 양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해,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