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은 원숭이의 해다. 12띠 중 아홉 번째 띠로 신년 생(申年生)을 가리킨다.
인간과 가장 많이 닮은 영장 동물인 원숭이는 우리 민속에서는 장수(長壽)와 가족애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오래 살고, 자식과 부부간의 사랑이 극진하기 때문이다.

▲ 왜 붉은 원숭이의 해일까
띠는 천간지지(天干地支)의 순서대로 정해진다. 천간(天干)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 등 10개의 글자로 되어 있고, 지지(地支)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등 12개의 글자로 되어 있다. 천간에 속한 글자와 지지에 속한 글자를 차례로 돌려 가며 맞추어 놓은 것이 육십갑자이며 60년에 해당한다.
띠에 색이 붙는 것은 천간에 의해서 정해진다. 갑·을은 청색, 병·정은 적색, 무·기는 황색, 경·신은 백색, 임·계는 흑색이다.
올해는 천간의 3번째인 병(丙)과 지지의 신(申)이 만나 병신년(丙申年)이 되는 해이고 색으로는 붉은색이 된다. 즉 붉은 원숭이의 해가 되는 것이다.
▲ 띠의 의미
띠는 사람이 태어난 해의 지지(地支)를 동물 이름으로 상징하여 이르는 말이다.
‘각 사람의 심장에 숨어 있는 동물’이라고도 일컫는데 오래전 토템사회에 인간이 동물을 숭배하던 유풍에서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우리가 삶을 영위해 오면서 밀접한 관련을 맺었거나 인간과 유사·유관한 관계가 있던 동물들이다.
그러나 여러 동물들 가운데 하필 12지수를 설정한 것은 불교의 영향으로 보인다.
12지는 약사여래를 모시는 12명의 호법신에서 유래했다.
흔히 야차(夜次)라고 불리는 약차가 석가가 약사불의 공덕을 설하는 것을 듣고 감동해 약사불을 위해 살 것을 다짐하며 호법신이 되었는데, 이들은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의 얼굴에 몸통은 사람으로 무장했다. 이들 호법신은 뒤에 도교의 방위신과 합쳐져 십이지신(十二支神)이 되었고 여기서 띠가 유래됐다.
관상에서 인상(人相)을 12부위로 나누는 것, 국악에서 12음역(音域)으로 음계를 나누는 것, 평시조에서 12번 쉬면서 창을 하는 것, 무가나 판소리가 12마당으로 이루어지는 것 등이 모두 같은 사고법에서 출발했다.
▲ 원숭이 해에 태어난 당신은
원숭이띠생은 움직이기를 좋아해서 사교적이고 감각이 뛰어나다. 양의 기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성격이 밝고 긍정적으로 살아가려고 하는 적극성이 있다. 창조자이고 임기응변가이며 다른 사람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자극하는 사람이다. 모방할 수 없는 간계와 매력으로 모든 사람을 끌어당길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융통성이 있고 복잡한 문제를 쉽게 풀며 빨리 배운다.
특히 원숭이 띠의 다양한 성격 중에서 한 가지 변하지 않는 자질은 자신감이다. 아무리 수줍음을 타고 유순해 보일지라도 내적으로는 항상 자신감이 넘친다.
반면 기운이 산만하고 지속성이 부족하며 잔재주가 화근이 되어 큰일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더러 말이 많아 남으로부터 오해를 받기도 한다.
참고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띠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