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대, 지난해 ‘의혹’서 ‘사실’로 새국면
제주국제대, 학장 구속 15년만에 정상화 발판

제주한라대학와 제주국제대는 경영진이 저지른 비리 문제로 시끄럽고 다사다난했다.
▲ 도민 세금으로 부활 기회 얻어
제주국제대학교(총장 고충석)는 ‘2016년 1월 17일까지 옛 탐라대 매각대금 전액 교비회계 환입’이라는 교육부의 정상화 과제 이행을 위해 분투했다.
국제대는 당초 교육부가 부지매각 위탁기관으로 지정한 삼일회계법인을 통해 옛 탐라대 부지 제3자 매각을 추진했으나 입찰자가 나타나지 않자 기한 내에 매입자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 제주도 매입 촉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에 제주도는 제주국제대 정상화와 공유재산 확보라는 명분으로 매입을 결정하고 지난 10월 제주도 공유재산심의위원회 심의와 지난 22일 제주도의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옛 탐라대 매입’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대학 정상화 방안을 놓고 총장과 이사진을 포함한 집행부는 옛 탐라대 매각을 통한 정상화를 추진한 반면, 교내 일각에서는 제3경영자 영입과 대학의 제주도립화를 통한 해결책 모색을 주장하며 내홍이 일었다. 이 과정에서 상대에 대한 비난을 담은 반박 기자회견과 성명 발표가 잇따르는 등 갈등이 격화되기도 했다.
제주국제대가 매각대금 교비회계 환입을 완수하면 1월 중 교육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이사회의 정상화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이로써 제주국제대는 2000년 제주산업정보대학 전 학장이 횡령으로 구속된 이후 15년 만에 정상화의 시동을 걸게 됐다.
▲ 더 힘든 내년 예고
제주국제대가 사태를 봉합하고 출발선에 섰다면, 제주한라대학교(총장 김성훈)는 내년 더 힘든 한 해를 예고하게 됐다.
2013년 이후 교직원들로부터 잇단 비리 의혹을 제기 받아온 제주한라대는 한해의 마감을 앞두고 감사원으로부터 수십억 원의 교비 환입과 과징금 징수, 고발 조치를 받았다.
감사결과 학교법인 한라학원(이사장 김병찬)은 학생 등록금으로 유치원을 설립하고, 개인 명의의 땅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이사장과 친족관계에 있는 일부 이사들이 불법 사실을 알면서도 해당 안건을 심의에 부치는 등 ‘거수기’를 자처하고, 비자금 통장으로 판단될 수 있는 ‘부외 계좌’도 발견됐다.
가장 민주적으로 선발해야 할 대학 최고 심의 기구인 평의원회 구성이 부적정했다는 제주도 감사위원회의 감사 결과도 나왔다.
특히 제주한라대는 지역에 모범을 보여야 할 의무가 있는 학문의 전당이자 도민과 국민의 세금을 지원받는 준 공공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감사 결과에 대해 일체의 입장 발표를 하지 않으면서 태도 문제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최근 제주한라대교수협이 전국 교수협의회와 대안을 공동 논의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이번 사안이 전국적 이슈로 확대될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내 사학들에 대한 제주도의 역할 무용론이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2016년 원희룡 도정이 대학 관리감독에 새로운 의지를 표명할지도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