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제주항공 事故 ‘공포의 19분’
이번엔 제주항공 事故 ‘공포의 19분’
  • 제주매일
  • 승인 2015.1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2일 제주국제공항에서 발생한 ‘관제탑(管制塔) 마비’ 사고 이후 딱 11일만의 일이다. 이번엔 제주항공 여객기가 여압장치(기내 압력조절) 고장으로 급강하하는 ‘공포(恐怖)의 19분’ 사고가 터졌다. 승객들이 극심한 두려움에 떨었음은 불문가지일 터다.

문제의 항공기는 23일 오전 6시30분 승객 152명을 태우고 김포공항을 출발 제주로 운항하던 제주항공 7C 101기(機). 이 비행기는 이륙 후 48분 뒤인 7시18분께 여압장치가 고장 난 것으로 확인됐다. 비록 큰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실로 아찔한 순간이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여압장치가 고장이 나자 항공기의 운항 고도를 1만8000피트(ft)에서 8000피트로 강하해 19분 뒤인 이날 오전 7시37분 제주공항에 정상적으로 도착했다”고 밝혔다. 여압(與壓)장치 고장 시 1만피트 아래로 내려오면 고장 여부와 관계없이 항공기 운항에 문제가 없다는 게 제주항공의 설명이다. 이어 “승객들이 놀라 항의하는 소동이 있었지만 병원 이송이 필요한 승객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를 요약하면 ‘사고는 있었으나 별다른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과연 그럴까. 승객의 입장에서 한 번 보자. 자기가 탑승한 항공기가 갑자기 1만8000피트에서 8000피트로 급강하(急降下)할 경우 그 불안과 공포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오금이 저려 다시 비행기를 타기가 어쩌면 두려울 게 뻔하다.

사고기에 탔던 한 남성은 “승객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한 기장과 승무원의 대처는 괜찮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행기가 착륙하자 사과 방송은커녕 환자 발생 여부도 파악하지 않은 채 항공기에서 내리도록 했다며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특히 사고(事故)시 산소마스크 작동을 둘러싸고 승객과 승무원 간 주장이 엇갈리는 등 벌써 파문 확산 저지에만 급급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번 사고를 두고 저비용항공사들이 ‘몸집 키우기’에 몰두한 나머지 안전 문제 및 서비스 개선엔 소홀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비등하다. 사고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그 후의 대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평가는 달라진다. 제주항공이 좀 더 겸허한 마음으로 사고 수습과 재발(再發) 방지에 나서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