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난 16년간 제주도 주변 남해안 표층 수온이 최대 1.3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00년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매년 4~6회 남해안 수온을 관측한 결과 제주해협 부근 해역을 따라 표층 수온 상승세가 뚜렷하다고 11일 밝혔다.
2000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10년간 남해안 전체 표층의 수온 평균 상승폭은 약 0.8도, 올해 3월까지 16년간 상승폭은 약 1도로 수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6년간 모슬포·제주북부·여수 해역은 각각 표층 수온이 1.3도 오르고, 부산 해역은 0.9도 상승했다. 성산포는 2004∼2015년 12년간 0.2도 올랐다.
수심 50m 저층에서도 약한 수온 상승 현상이 나타났다. 16년간 수온 상승폭은 모슬포 0.8도, 부산 0.6도, 여수 0.4도, 제주북부 0.1도 등이다.
이처럼 남해안 평균 수온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쿠로시오 해류에서 나뉘어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고온·고염 대마난류 수온이 오르는 데다 수송량도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국립해양조사원은 분석했다.
해수 온도 상승은 기후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어장·해류·해수면 변동 등 해양 환경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기후 변화가 가져올 전 지구적 해양 재해와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나라 기후 변화에 영향을 주는 해류 관측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