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의 ‘2015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발표로 제주자치도와 도교육청의 희비(喜悲)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도교육청이 최근 3년 동안 전국 수위(首位)를 기록한 반면 제주도는 최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가 결과 제주도의 종합청렴도는 10점 만점에 7.5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4위(4등급)였다. 지난해 16위보다는 2단계 상승했다고는 하나 하위권에서 맴돌기는 마찬가지다. 종합청렴도는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 정책고객평가를 가중 합산한 것이다.
제주도의 경우 내·외부청렴도는 지난해보다 다소 나아졌으나, 정책고객평가에서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도 관계자는 “보조금 비리 및 초과근무수당 부당 수령 등 평가기간동안 발생한 불미스러운 일들로 점수가 낮아졌다”고 밝혔지만 그 자체가 청렴하지 않다는 것을 반증(反證)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제주도교육청의 청렴도는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가운데 1위(1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종합청렴도에서 1등급인 교육청은 제주와 대구광역시 뿐이다. 제주도교육청은 2013년 1위를 비롯해 계속해서 1등급을 받았다.
이번 조사에선 도내 공직유관단체들의 청렴도(淸廉度) 역시 크게 나아진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지난해 2등급 2위에서 올해 3등급 14위로 크게 떨어졌다. 제주도개발공사도 2등급 8위로 지난해보다 3계단 내려앉았다. 다만 제주관광공사가 지난해 10위에서 6위로 올라섰을 뿐이다.
청렴도는 그 지역 공무원의 수준을 나타낸다. ‘청정 제주’가 왜 이렇게 망가졌는지 모두가 반성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