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시첨단산업단지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반대대책위는 지난달 말 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산업단지 선정 발표 시 중앙정부가 500억원을 투입해 개발한다고 했는데 국토교통부는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으며, 편성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토지주를 배제하고 추진하는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원천 무효(無效)”라며 “만약 국토부와 제주도 등의 관련자들이 도남동 계획부지를 무단으로 침입하면 물리적으로 몰아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하던 제주도가 1일 반대대책위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도는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지정권자가 국토교통부 장관이고, 시행자가 LH공사인 국가정책사업”이라며 “LH 자체예산으로 조성사업비(약 500억원)를 충당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지가(地價) 부분 역시 일부 토지주의 사업추진 반대 명분 및 자기방어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반대위와 제주도의 시각차가 너무 커 당분간 ‘접점(接點) 찾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제2공항 등 국책사업과 관련된 갈등은 당국의 ‘비밀(秘密)주의’가 그 원인이다. 물론 사업 예정지가 공개될 경우 투기 등의 부작용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이해(利害) 당사자인 주민과의 교감이 전혀 없는 행정의 일방 추진이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추진협의회 등을 구성해 토지주와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도시첨단산업단지 계획을 발표한 것은 올해 1월이었다. ‘소를 잃고 나서야 외양간 고친다’고, 사업 발표 1년이 다 되어서야 ‘의견 수렴’ 운운하는 행정의 행태가 참으로 한심하고 못미덥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