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탐라대 부지 매입 건이 1일 도의회 행정자치위에서 원안 가결됐다. 도의회가 상임위원회의 의결 사항을 존중하는 관례를 감안하면 본회의 통과도 확실시된다. 이로써 제주국제대학교의 정상화는 가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열린 행자위가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이상봉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이 사업에 혈세(血稅) 420억원이 투입된다. 제주 국제대는 이 자금으로 각종 채무를 상환해야 하는데 학교 정상화가 아닌 일시적인 미봉책(彌縫策)에 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탐라대 매각자금은 학생시설 환경개선 127억원을 비롯해 기채차입금상환(118억원)과 밀린 임금상환(110억원) 등에 쓰일 예정이다. 학생들을 위한 환경개선을 빼고는 모두 일회성 예산에 속한다.
그러나 행자위는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등 국제대의 조기 정상화(正常化)를 위해선 부지 매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특히 옛 탐라대 부지는 빼어난 조망권과 전기 및 수도, 하수관과 도로 등 각종 인프라가 잘 정비돼 있다. 때문에 향후 산남북 균형(均衡)발전을 위한 거점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 뿐만 아니라 자칫 투기성 자본에 매각될 경우 중산간 난개발이 우려되는 점도 고려됐다.
탐라대 부지 매입 건은 9부 능선을 넘어 이제 도의회 본회의 통과만 남겨두고 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수두룩하다. 그 중에서도 최우선적인 과제는 ‘비리(非理)재단 복귀’를 막는 일이다.
교육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빠르면 이달 중 회의를 열고 정이사 선임 등 대학 정상화 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고충석 총장을 위시한 제주국제대 집행부는 비리재단이 복귀하는 불상사(不祥事)가 없도록 총력을 경주해야 한다. 만에 하나 비리재단이 복귀할 경우 그 누구도 감당할 수 없는 엄청난 후폭풍(後暴風)이 몰아칠 것은 불문가지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대학 정상화를 위한 종합적인 방안 마련도 조속히 서두르길 바란다. 제주국제대를 ‘작지만 강한,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제주도민과 도정의 성원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