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주민 ‘동거 불가’ 행정구역 분리 요구 등 갈등 여전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이 최초 필요 결정이 내려진 지 22년, 공사를 착공한 지 5년 만에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29일 해군에 따르면 현재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항만 공사는 96.5%, 육상 공사는 87% 등 94%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해 말 완공될 예정이다.
해군은 지난 9월 16일 이지스 구축함(DDG)인 세종대왕함(7600t)을 시작으로 이달 26일까지 모두 3차례에 걸쳐 16개 유형의 함정 21척을 현장에 보내 계류시험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계류시험은 항만에 함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각 유형별 함정이 입항해 정상적인 항만 기능 여부, 부두 안전성, 지원시설 적절성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해군은 제주민군복합항 완공을 앞두고 12월 1일 부대 경계와 계류 함정에 대한 군수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할 제주기지전대(대령급)을 창설한다.
이에 따라 해군 인력이 모두 빠져나간 제주방어사령부는 해체되고 해병대사령부 예하 제9해병여단(준장급)으로 개편된다.
제주기지전대 창설을 시작으로 부산 제7기동전단, 진해 잠수함사령부 예하 잠수함전대가 차례로 제주로 이전해 본격적으로 작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해군과 강정마을회 간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지는 양상이다. 강정마을회는 제주민군복합 사업부지 내 들어서는 해군 아파트 등 대략 980세대를 별도의 통으로 분리를 요청했다.
제주민군복합항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10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일한 행정구역에 소속되는 사실상 ‘적과의 동침’은 절대로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제주도와 서귀포시는 강정마을회 측의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결과는 이번 주 안으로 나올 예정이다.
조경철 강정마을회장은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갈등 문제가 해결되지 상황에서 마을 정서상 그들(해군)과는 절대로 함께 할 수 없다”며 별도의 통으로 분리를 요청한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제주민군복합항은 2006년부터 정부 예산 1조231억 원을 투입해 강정 해안에 해군 함정20여 척과 15만t급 대형 크루즈선 2척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민군복합형관광미항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1993년 12월 최초 소요가 결정된 지 22년, 2010년 1월 항만 공사를 착공한 지 5년 만에 완공을 앞두고 있다. 해군은 내년 1월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으로 운용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