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바람’ 탓인가. 제주지역 가계(家計)대출 증가폭이 전국 평균을 훨씬 상회하고 있다. 신용이든 담보든 대출은 결국 갚아야 할 ‘빚’이다. 그러기에 이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이 매우 높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발표한 ‘9월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을 보면 9월 중 도내 가계대출은 1464억원이 증가했다. 전달 2144억원과 비교하면 증가폭은 축소됐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난 9월 주택담보대출은 621억원이 늘면서 2조 9230억원의 잔액을 기록했다. 3조원 턱밑까지 접근한 것이다. 기타 대출(貸出)까지 합하면 대출잔액은 무려 4조 4237억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도내 기업대출 잔액 또한 7조원을 훨씬 넘어서 가계나 기업 모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9월 대출연체율이 0.18%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제주지역 가계부채 증가의 경우 활황세를 보이는 부동산(不動産) 시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 돈이 생산적인 곳에 쓰이지 못하고 부동산에 묶인 채 부동산 경기 둔화(鈍化)나 금리인상 등이 이뤄질 경우, 곧바로 가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가계부채는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때문에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 혹은 ‘최대 뇌관’으로 불린다. 그만큼 보다 심각하게 경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른 책임을 가계에만 넘기지 말고 관련 당국도 예의주시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