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건설과 관련 벌써부터 반대(反對)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제주자치도가 갈등 해소와 피해 보상 등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고 있으나 사업 추진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건설 예정지의 70%를 점하고 있는 성산읍 온평리마을회는 지난 16일 임시총회를 열고 제2공항 문제를 논의했다. 이날 임시총회는 비공개로 진행됐는데,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제2공항 건설을 반대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책위에서 나온 의견 등을 마을총회를 거쳐 직접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인근 난산리와 신산리 주민들의 입장도 비슷한 분위기인 것으로 파악됐다. 원희룡 지사와의 간담회에서 공항부지 변경과 보상방법, 지원 대책에 대해 질문과 답변이 오갔지만 공항 건설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주민들은 항공기 소음 및 보상 문제 등을 집중 거론했다고 한다. 향후 험로(險路)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원희룡 지사는 제2공항 입지 발표 직후 ‘개발이익의 지역 환원’을 힘주어 강조한 바 있다. “주민의 희생(犧牲) 한편에서 엉뚱한 사람들이 배를 불리는 일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이란 다소 거친 표현도 썼다. 제2공항을 성공적으로 건설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리고 해당지역 주민들을 위무(慰撫)할 방안의 중심에 ‘에어시티 조성’이 있다. 원 지사는 17일 도의회 도정질문 답변을 통해서도 이 같은 사실을 재확인했다. 도민사회 일각에서 제기한 에어시티 사업과 관련 혼란이 일고 있다는 지적도 일축했다.
“현재 제주도가 구상하는 ‘에어시티’의 개념은 다른 곳의 형태를 제주로 옮기려는 것이 결코 아니란 것. 소음 등의 피해가 예상되는 공항 주변지역을 공공(公共)이 주도적으로 도시계획을 세워 그 주변을 관리하고 개발이익을 창출함으로써 그 이익을 지역에 환원하겠다는 것”이 원 지사의 설명이다. 에어시티 대상지는 공항 건설로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온평·신산리 인근이 유력해 보인다.
제2공항 건설은 원희룡 제주도정에 있어 ‘치적(治績)’이 될 수도, 아니면 ‘애물단지’가 될 수도 있다. 원 지사가 예상되는 각종 난관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