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교통 문제, 자가 교통 억제시켜야”
“우도 교통 문제, 자가 교통 억제시켜야”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5.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교통연구소 정책토론회서 중장기 대안 제시

관광객 유입 증대 등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우도의 교통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가 교통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입장료를 인상해 대중교통 무료지역화로 탈바꿈 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YMCA부설 제주교통연구소는 5일 제주시 우도면사무소 대회의실에서 ‘우도지역 교통문제 해결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변장선 제주도 교통정보센터장은 이날 ‘우도지역 교통안전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중장기적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우도는 도로폭이 협소한데다 보도와 차도가 구분돼 있지도 않아 사고발생 위험이 높다”며 “안전시설도 돌담과 석축, 방파제 등 자연적 시설에 의존하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우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2103년 58건에서 지난해 67건, 올 들어서는 64건이 발생하는 등 관광객 증가세와 맞물려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이에 따른 인명피해도 최근 3년간 174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사고는 대부분 안전운전 불이행에 따른 것으로 관광객이 몰리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에 집중(86.2%)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변 센터장은 단기적인 시설개선 방안으로는 주요지역의 도로와 보도를 분리하고, 대형차량 정차대 시설, 과속방치턱·일시 피양구간·고원식 교차로 등 속도저감 시설을 제시했다.

이어 중장기적인 방안으로는 환경보존과 주민안전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한, 자가 교통억제를 들었다. 이를 위해 5~10분 환승 가능 체계 및 과감한 일방통행 시행 등을 제시했다.

또 싱가포르의 센토사 섬의 교통체계 모델 도입도 제안했다. 섬의 입장료(공원 입장료) 인상과 더불어 대중교통 무료지역화 등도 제언했다.

이와 함께 김철수 서광리장은 ‘우도지역 교통문제에 대한 제언’ 주제발표를 통해 “우도지역 자동차 총량제 도입이 실시되면서 교통불편과 환경문제가 개선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차량 반입 문제에 대해서는 고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