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저지른 전 경영진 복귀 우려 ‘안전장치’ 필요
대학 내부서도 해법 두고 시각차…갈등 상황 여전

제주도의 옛 탐라대 부지 매입 결정으로 한시름 놓은듯하던 제주국제대학교(총장 고충석)가 내부적으로는 구성원 간 각기 다른 경영 정상화 방안을 주장하며 내홍을 겪고 있다.
제주국제대 이사회와 총장 등 집행부는 제주도의 옛 탐라대 부지 매입을 최적의 대안으로 보고 있다. 반면, 민노총 산하 제주국제대 노조(지부장 고두산)와 제주국제대 민주화와정상화추진협의회(공동의장 김대영·김봉진 교수) 등 일부 구성원들은 제3경영자 영입을 통한 정상화를 주장하고 있다.
우선, 집행부는 옛 탐라대 부지 매각을 대안으로 꼽고 있다. 당장 자금을 수혈 받을 수 있고, 교육부의 이행과제 완수에 따른 재정지원제한 해제로 대학 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집행부는 이를 위해 지난 7월 기자회견을 열고 도의 매입을 강력 촉구했다. 또, 교직원 미납 급여 중 일부(10억6000만원)를 당초 대학 유치를 위해 마을공동목장을 매각해준 서귀포시 하원마을회에 기탁하겠다고 밝힘으로써 제주도 매입에 대한 주민 동의도 확보했다.
집행부의 방안은 교육부가 내년 1월로 예정된 '매각 대금 교비 전입' 시기를 얼추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손에 잡히는 현실적 대안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 목돈이 들어오기 때문에 200억여 원에 달하는 체불임금과 기채상환비, 교육부가 이행과제로 제시한 시설개선비 등을 충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집행부의 구미를 자극하고 있다.
반면 노조 등 일각에서는 투자자 영입을 통한 정상화를 주장하고 있다.
투자자 영입 안은, 순조롭게 투자금이 들어올 경우 재산(옛 탐라대 부지) 매각 없이 이들의 재정 출연으로 학교를 운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학교법인의 경영주체가 바뀌기 때문에 앞서 교비횡령으로 문제를 일으킨 전 이사장 체제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어 외부적으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현재까지 투자 계획을 밝힌 업체는 A투자회사와 B의료재단 등 3곳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이들은, 차선책으로 제주국제대의 도립 화를 제안하고 있다. 산남지역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고, 옛 탐라대 부지뿐만 아니라 동원교육학원 산하 수익용 재산까지 도의 공유재산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두 가지 제안의 핵심은 경영진 교체다.
현재 집행부와 반대 측은 다른 시각과 다른 논리를 토대로 외부적으로도 이분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제주국제대가 제주도의 옛 탐라대 매입 결정에 고마움을 표하는 기자회견을 열던 시각, 또 다른 구성원들은 "재정투자 희망자가 있다"는 내용의 도 매입 반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들은 또, 양 측의 각기 다른 의견이 갖는 장단점을 분석한 자료를 제주도에 발송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는 420억여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이는 옛 탐라대 부지 매입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의 과제 이행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현실적인 대안이 없고, 대학이 정상화되지 못할 경우 그 피해가 학생들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이유다.
그러나 이 경우 교비횡령으로 지난 15년간 지역사회에 갈등과 행정력 낭비를 초래한 전임 경영진의 복귀가 가능해 매입에 앞서 사립대학 관할청으로서 이에 대한 안전장치를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