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 과제 ‘탐라대 부지 매각’ 여전히 미결
지정시한 코앞…道 매입 외 현실적 대안 없어

2000년 김동권 전 동원교육학원 이사장의 교비횡령(2012년 대법원 형 확정)으로 시작된 옛 제주산업정보대학과 옛 탐라대학교의 경영부실은, 이후 교육부 재정지원사업 참여가 차단되고 신입생 감소가 이어지면서 매년 악화일로를 걸었다.
2010년, 교육부는 한국사학진흥재단과 삼일회계법인의 경영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25개의 정상화 과제를 제시했다. 핵심은 '양 대학 통합'과 '탐라대 부지 매각 후 전액 교비 전입', 기한은 2016년 1월 16일이었다.
이 조건을 달고 2012년, 양 대학을 통합한 제주국제대학교가 출범한다.
하지만 개교 6개월도 안 돼 제주국제대는 2013학년도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및 학자금대출제한대학으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전국 337개 대학(전문대학 포함) 중 43개교를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13개교를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으로 지정했는데 여기에 제주국제대가 이름을 올렸다. 2014년에도 학자금 대출 제한대학 및 경영부실 대학으로 지정됐다.
대학 통합 후에도 이사회는 계속 파행이었다. 탐라대 부지 매각과 예산 등 다수의 학사운영 관련 안건들이 결정되지 못 했다.
2000년 교육부가 임시 이사진을 파견한 이후, 2010년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대학의 자체 정상화 노력을 높게 평가해 정이사를 선임했지만 정이사 체제에서도 임원 간 분쟁으로 수년간 총장을 선출하지 못 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따라 사립대학 관할권을 교육부로부터 이양(2012년 5월)받은 제주특별자치도가 2013년 이사들의 임원 승인을 취소하고 임시이사를 선임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구성원들의 우려와 분노도 컸다.
학내에서는 앞서 교육부가 임시이사체제를 해소하는 조건이자 대학 통합조건으로 요구했던 탐라대 부지 용도변경 등이 진척되지 않자 이사회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박철훈 총장 직무대행을 비롯해 총동창회, 대학평의원회, 교수협의회, 민노총 산하 노조 등 구성원 전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법인 이사회의 정상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통합 2년만인 지난해 초대 총장으로 선출된 고충석 전 제주대 총장은 부임 후 회생을 위한 학제 개편에 돌입했다.
바이오패키징 전공, 금융기술학과 등 차세대 유망학과와 영화연극, 대중음악, 스마트광고미디어 등 희소학과를 신설했다. 또 관광협회, 공인중개사협회, 마사회 등의 실무자들과 배우 고두심 씨 등 유명인을 교수로 영입하며 지역사회에 이슈를 던졌다.
하지만 옛 탐라대 부지(부지 31만여2217㎡와 건물 11동) 매각은 두 차례 유찰됐다. 다급해진 국제대는 2015년 7월 기자회견을 통해 제주도에 부지 매입을 요청했다.
제주국제대는 또, 탐라대 부지를 ‘헐값’에 팔아준 서귀포시 하원마을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 교직원 미납 급여 중 일부인 10억 6000만원을 마을 발전기금으로 내놨다. 하원마을회는 지난 24일 임시 총회를 열고 제주도의 탐라대 부지 매입을 반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제주도는 현재 탐라대 부지 매입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매입에 420억원이라는 막대한 ‘도민 혈세’가 들어가지만, 교육부가 제시한 ‘매각 대금 교비 전입’ 시기가 코 앞에 있어 현실적으로 제주도의 매입 이외에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입장이다.
제주도는 가능한 내년 예산에 매입비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공유재산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해야 하고, 제주도의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 부지 매각이 이뤄지면 제주국제대는 교육부가 제시한 정상화 이행과제를 완수, 정상화의 발판에 바짝 다가서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