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인정(檢認定)인 국사교과서의 국정화(國定化)를 놓고 심각한 국론분열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정부가 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발표 한 이후 여당인 새누리당과 보수단체 및 일부 인사들은 현재의 좌편향 국사교과서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찬성하고 있는 데 반해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과 국사연구 모임 등 관련 학회, 국사학자, 상당수의 국민들까지 “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독재를 미화하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찬-반 논란은 전국으로 확산 돼 플래카드 시위와 촛불집회, 서명운동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심지어 대다수의 국사학자들은 정부가 국사교과서를 국정화한다면 집필을 거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가 국정화를 강행한다면 국사교과서 집필진은 친정부 학자로 채워질 수밖에 없고, 결국 반대자들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의 역사란 한 시대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각 정권들의 필요에 따라 좌지우지(左之右之) 될 수 있는 기록이 아니며, 특정단체나 학자에 의해 사실과 진실의 해석·평가가 아무렇게나 왜곡 돼도 좋은 그러한 기록은 더더욱 아니다.
사실은 사실대로, 진실은 진실대로, 그리고 그 사실과 진실에 대한 해석과 평가도 사실에 맞게, 진실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려면 역사기록은 정파도, 정권도, 사심도 모두 초월해야 한다. 오로지 사실에 입각한 진실기록과 해석·평가만이 참 역사를 있게 한다.
과거 사초(史草)를 둘러싼 왕과 사관(史官)의 갈등도 역사를 왜곡하려는 왕권에 대한 사관(史官)들의 올바른 역사 지키기에서 비롯됐다. 500년 조선조 역사가 그나마 올바로 계승 될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역사를 왜곡하려는 왕권은 사마천(司馬遷)을 거세(去勢) 시켰지만, 사마천은 거세를 당하면서도 ‘역사’를 지켰다.
우리나라는 이 시대에 와서 교과서의 국정화냐 검인정이냐를 놓고 안팎이 시끄럽다. 원칙적으로 교과서는 검인정이어야 맞다. 정부는 현재의 검인정 국사교과서가 지나친 좌편향이라지만 철저한 검정으로 그것을 막을 수 있지 않은가. 교과서의 검인정이 정상이라면 국정화는 비정상이다. 정부는 일이 더 커지기전에 국정화 강행을 접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