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대 기탁기금은 ‘학교살리기 임대주택’ 건립 사용

서귀포시 하원마을 주민들의 동의로 제주도의 옛 탐라대 부지 매입이 탄력을 받게 된 가운데 도가 부지 매입 후 공공기관 이전 부지로 활용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앞서 제주국제대 교직원들이 하원마을회에 기탁한 발전기금은 하원초등학교 학생 확대를 위한 임대주택 건립비로 사용할 전망이다.
26일 하원마을회(회장 오상호)에 따르면 지난 24일 하원마을회관에서 열린 임시총회에서 제주도 관계자는 옛 탐라대 부지 활용과 관련해 인재개발원과 제주도소방본부 등 도 산하기관 이전 구상안을 제시했다.
도 관계자는 "도내 공공기관을 그 쪽에 집적하면 좋겠다는 방향을 잡고 있다"며 "그러나 도민 공감대와 관계기관 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신중히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옛 탐라대 규모는 부지 31만2217㎡와 건물 11개동(3만316㎡)이다. 도는 내년께 관련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지난 24일 임시총회에서 주민들은 앞서 제주국제대 교직원들이 하원마을회에 기탁한 발전기금 10억6000만원을 하원초 학생 확대를 위한 임대주택 건립에 쓰기로 결정했다.
예상 규모는 총 8세대, 총액 중 건축비로 소요되는 5억원에 대해서는 제주도가 같은 금액을 매칭 지원한다. 이후 제주국제대가 완공 후 마을에 기부채납하는 방식이다.
오상호 마을회장은 "불확실한 자본에 넘어가는 것보다 제주도가 매입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며 "공공시설을 유치해 산남북 균형발전의 토대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고 주민들의 뜻을 전했다.
이런 가운데 26일 학교법인 동원교육학원 현한수 이사장과 제주국제대 고충석 총장 등 제주국제대 관계자들은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의 매입 결단과 하원마을주민들의 수용 결정이 학교 정상화의 단초가 될 것"이라며 고마움을 표했다.
한편 제주국제대학교 집행부 측과 다른 정상화 방안을 주장해오던 제주국제대 민주화와정상화추진협의회(공동회장 김봉진, 김대영)와 전국대학노조 제주국제대학교지부(지부장 고두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제주도와 제주국제대 집행부가 '제주도의 옛 탐라대 부지 매입 방안'만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부지 매각을 통한 정상화보다, 투자자 영입을 통한 정상화 방안이 바람직하고, 실제 2개 업체가 참여의향서를 제출했으나 집행부 측이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집행부 관계자는 "참여의향서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한 쪽은 검찰 수사를 받고 있고 한 쪽은 우리가 제시한 조건에 대해 아직 수용 여부를 답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