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청년정책 "실효성없다" 73.9%
대학생들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꼽은 것은 '빈부격차 해소'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신문은 창간 27주년을 맞아 8∼9월 전국 대학 재학생 1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29.1%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빈부격차 해소를 꼽았다고 12일 밝혔다.
이어 부정부패 척결(27.1%), 정치적 안정(12.7%), 경제적 성장(12.2%), 교육제도 개혁(9.2%) 순이었다.
사회에서 가장 불신하는 집단은 정치인이 85.7%로 압도적이었다. 사업가(4.3%), 언론인(3.9%), 군인(1.3%), 공무원(1.2%), 법조인(1%)이 그 뒤를 이었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이 65.8%, '보통'은 20.9%인 것으로 조사됐다. 9.1%는 '잘 모르겠다', 4.2%는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현 정부 청년정책의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3.9%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고, '그렇다'는 1.9%에 불과했다.
대학생 45.8%는 자신을 '중도'라고 답했다. 22.9%는 '잘 모르겠다'고 했으며 19.7%는 '진보', 11.6%는 '보수'라고 답했다. 지지하는 정당이 있는지에 대해 86%는 '없다'고 대답했다.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만족하는 학생은 29.3%에 그쳤고, 52.1%가 '그저 그렇다', 17.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대학이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강의의 질적 향상'이 39.1%로 가장 많이 꼽혔다. 그다음으로는 장학혜택 확대(17.2%), 학생 서비스 개선(11.5%), 우수교원 확보(7.4%) 등 순이었다.
취업할 때 직장으로는 '공기업'을 택하겠다는 비율이 31.8%로 가장 높았다. 직업을 선택할 때 급여(23.5%), 적성과 능력(21.9%), 안정성(21.3%)을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