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대한 중국자본의 투자가 지난 2009년 이후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투자분야 대부분이 부동산 임대와 숙박업에 집중(集中)됨으로써 신수요 창출 효과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문제점은 ‘중국 대외투자 특징과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 모색’이란 주제로 7일 열린 한·중 국제학술세미나에서도 제기됐다.
고태호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국의 제주 투자가 부동산(不動産) 기반사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투자기업(88개) 업종을 보면 부동산 임대가 45.5%(40개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숙박업이 20.5%(18개소)로 그 뒤를 따랐다.
이러한 중국자본의 제주투자는 장·단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우선 외자가 유입돼 건설 및 관련산업에 경제적 파급 효과를 유발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숙박업에 대한 투자도 객실난 등을 줄이는데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러나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득(得)보다 실(失)이 크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 첫 번째가 부동산 경기와 관련 ‘거품’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자본의 대거 유입으로 도내 땅값과 집값 등이 천정부지(天井不知)로 치솟아 정작 실수요자들은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숙박업 또한 과포화 상태로 거품이 꺼지면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지금과 같은 중국의 대(對)제주 투자는 관광 등과 연계한 신성장 동력산업 및 향토자원을 활용한 제조업 육성이란 제주자치도의 정책 방향과도 부합되지 않는다. 중국의 제주투자와 관련 전반적인 문제점을 점검하고 현실에 걸맞는 대책을 마련할 때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