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가 마련한 천연기념물인 사람·동물 발자국 화석 산지를 보호하기 위한 ‘해안가 원담’ 설치 사업이 지역 주민의 거센 반발로 기약 없이 미뤄지게 됐다.
이는 서귀포시가 해안가에 원담을 설치하는 방안이 오히려 해녀의 생활터전 피해와 경관 훼손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문제 제기에 대해 아무런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는 4일 제주 사람 발자국과 동물 발자국 화석 산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사업을 시행해 효과적인 문화재 보존·관리를 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화석 산지 앞바다 519m 중 30m 구간에 원담을 쌓는 방안을 2019년 이후 추진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또 2016년까지 수장고 설치 실시설계용역을 시행해 2017년~2018년 설치공사를 마무리해 화석 산지 보호에 따른 레플리카 제작물 관리와 보관에 나서기로 했다.
내년에는 지역주민 현장포럼도 개최해 화석 산지 해설사를 양성하고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원담 설치 등 사람 발자국 화석 산지 보호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귀포시는 원담 설치를 위해 마련한 사업비 4억5000만원을 수장고 설치와 레플리카(복제품) 제작 사업에 사용하기로 내부적으로 정했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는 보호사업에 대한 변경안을 문화재청에 제출했으며, 사업 변경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에 앞서 서귀포시는 지난 7월 22일과 8월 21일, 8월 25일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대정읍·안덕면 주민설명회를 시행했지만 지역 해녀들이 원담으로 인해 생계 터전을 잃을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 파행을 빚은 바 있다.
지역주민들은 ▲원담 주변으로 모래가 쌓여 해산물 피해 우려 ▲일부 설치 구간 해녀 물질 출입구 역할하고 있어 생활터전 피해 ▲경관 훼손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는 지역 주민을 배려하지 못한 보호사업 마련으로 아시아에서 유일한 사람·동물 발자국 화석 산지에 대한 소실과 훼손 현상 등을 넋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스스로 갇혔다는 지적에서 벗어날 수 없어 보인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원담을 설치하려던 사람·동물 발자국 화석 산지 보호사업 계획에 대한 사업비는 수장고 설치와 레플리카 제작 사업으로 변경키로 하고 문화재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원담 설치 등 보호사업의 경우 장기적으로 지역주민이 화석 산지에 대한 소중함과 가치가 확립된 후 시행토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