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와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지난 17일 두 번째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의 안건은 지역사회 주요 현안인 ‘외국의료기관’ 문제와 ‘예래 유원지개발사업’. 둘 다 민감한 사안이라 뚜렷한 성과는 없었지만 ‘만남’ 자체에 의미가 있었다.
이날 양측은 시작부터 날선 공방을 벌였다. 원희룡 지사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한 소통(疏通)’을 강조한 반면 시민사회연대는 ‘도민과 소통 없는 불통(不通)행정’을 지적했다.
안건으로 올라온 문제에 대해서도 양측의 주장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외국의료기관’과 관련 시민사회연대는 헬스케어타운에 들어설 녹지국제병원이 사실상 ‘국내 영리(營利)병원’이라는 지적과 함께 내국인 출입 및 국내자본 우회투자 문제 등을 집중 추궁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실국장들이 나서 조목조목 반박하며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설전을 펼쳤다.
‘유원지 개발사업’을 놓고도 논쟁은 이어졌다. 시민연대는 “지난 3월 예래휴양형주거단지 내 토지매입은 ‘원천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이후 제주도가 특별법 개정을 통해 사업자에게 혜택을 주려 한다”고 몰아 붙였다. 반면에 도정은 “특별법 개정의 목적은 제주에 맞는 유원지 개발 모델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강변(强辯)했다.
두 번째 열린 정책간담회는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한 채 끝났다. 하지만 전혀 ‘소득’이 없었던 것도 아니었다. 그리고 향후 해법의 실마리는 양측의 발언 속에서 찾을 수가 있다.
이날 원 지사는 “가치의 우선순위가 경합한다면 이를 공존(共存)시키기 위해 최선 또는 차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대표도 “이런 자리(간담회)가 의미가 있느냐는 생각도 있었지만 그래도 함께 풀어야 하기 때문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양측 모두 도민과 지역사회를 위한다는 ‘충정’에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어떻게 접점을 찾느냐다. 이를 위해선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있어야 한다. 때문에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 정신이 그 무엇보다 필요하다. 다소 껄끄럽더라도 자주 만나 소통하다 보면 분명 길도 보일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