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의 모세혈관인 중소기업을 살려야 한다.
대기업이 전무한 도내 실정을 감안하면 중소기업은 도내 경제의 중추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다른 지방에 비해 사실 도내 중소기업은 규모면에서 소기업 또는 영세기업에 속한다.
반면 도내 기업들은 도민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탓에 이들 기업의 부진은 바로 지역경제 불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국내 전체경제의 영향아래 놓여 '홀로 서기'를 통한 활로모색에 어려움을 겪는 형편이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대대적인 중소기업 지원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중점은 자금부문.
이들에게 저리의 시설 및 경영자금을 제공, 불황을 이겨나가기 위한 숨통트기에 나섰다.
지난해 6월 21일 도는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지원확대를 도모했다.
지원대상을 종전 28개 업종에서 43개업종으로 확대하는 한편 9월1일부터는 금리인하 및 담보별 차등 적용제를 실시했다.
기업에서 내는 금리가 2003년 4.9%선에서 지난해들어 4.7%로 낮아졌고 이 제도의 시행이후에는 3.7~4.5%로 줄었다.
'한푼이라도 아쉬운' 시대에 '가뭄의 단비' 역할을 해준 것으로 평가됐다.
제주도가 추천한 육성자금 지원규모는 3309개 업체에 1209억원으로 2003년 1703개업체. 802억원 대비 업체수로는 두배 가까이 금액은 51%가 급증했다.
올해 도는 1200억원을 도내 중소기업에 융자해준다는 방침을 세웠다.
23일 현재 1779업체가 671억원을 지원받은 데 이어 올해 말까지 같은 규모정도로 자금을 융통해 줄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모래자갈채취업을 비롯해 노래연습장, 청소업, 장비대여업 등도 지원 대상에 포함됐고 공예품 상품회, 법인도소매업, 근해어업 등에 대해서는 지원한도를 상향조정했다.
제조업 등은 창업 및 경쟁력 강화자금 지원대상 확대 등 별도의 대책을 마련했다.
올 들어 도는 금리를 차등적용하면서 실질적인 인하효과를 노리고 있다.
보증서 3.2%, 부동산 담보 4.15%, 신용 4.3% 등으로 지난해보다 낮은 금리적용을 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연중 기업애로사항을 수렴, 지원대상을 추가발굴하겠다"면서 "제주도기업인 예우 및 기업활동촉진조례를 제정, 올 8월부터 시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도가 수립중인 제주도 기업인 예우 및 기업활동촉진에 관한 조례의 내용은 기업활동 촉진 도모 및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원대상은 정부, 도 또는 도단위 이상 기업관련 기관단체로부터 포상을 받은 기업이나 기업인. 성장유망중소기업이나 기업인. 신개술개발을 포함 고용증대. 노사협력. 대규모 투자 등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한 공이 큰 기업이나 기업 등이다.
'될 성 부른 나무'를 키운다는 정책으로 대상에 선정되면 도 중소기업경영안전자금 및 신용보증에 특례를 인정한다.
해외시장개척단파견 및 해외전시. 박람회 참가 우선 지원, 지방세법 제64조에 대한 세무공무원의 질문. 검사권 유예, 홍보 및 도 주요행사 초청, 기타 행. 재정적 지원을 더해 도내 경제의 주역으로 성장시킨다는 전략이다.
도 경제당국은 이와 관련 "도내 기업과 함께 제주도의 역할은 분명히 한계가 있지만 그 속에서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것이 정책의 핵심"이라며 "재정 지원 및 제도적 뒷받침 등은 행정당국의 책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