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남 위원장 “정확도 높혀야” 지적
낚시어선 돌고래호(9.77t·해남 선적) 전복 사고 실종자의 실제 발견 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 예측 위치와의 거리가 최대 69.5km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김우남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제주시 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14일 사이에 발견된 돌고래호 전복 사고 실종자들의 실제 발견 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 예측 위치가 9.5km에서 69.5km까지 차이가 났다.
표류예측시스템은 정부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220억 원을 투입하는 해양예보시스템 중 하나의 기능으로, 조류의 방향과 유속 등을 근거로 표류된 선박과 실종자의 위치를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2011년부터 해양과학기술원(KIOST)을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2013년부터는 국립해양조사원이 이를 실용화해 해경에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류예측시스템은 돌고래호 전복 사고에 있어 선박 만이 아니라 실종자의 위치 예측에도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4일 12번째 사망자가 발견된 지점은 하추자도 남동쪽 5km 해상이지만 표류예측시스템이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 지점은 제주도 우도 동북쪽으로 실제 발견 지점과의 거리는 69.5km다.
지난 10일 11번째 사망자도 추자대교 아래 해상에서 발견됐지만 표류예측시스템이 예측한 지점은 이로부터 남동쪽으로 48.2km나 떨어진 해상이다.
지난 6일 10명의 실종자가 발견된 지점 역시 추자도 인근 해상이지만 예측 지점은 이로부터 동남쪽으로 9.5~19.5km 떨어진 해상이다.
해양수산부는 표류예측시스템의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격자(3km)를 사용하고 있어 이번 사고 해역과 같이 섬과 복잡한 해안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시스템은 가로·세로 3km 간격으로 그 안에 있는 조류 등의 정보를 평균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그 안에 조류 등에 영향을 주는 섬 등이 있는 경우는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는 것이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정확도가 낮은 3km 격자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컴퓨터 용량의 한계를 들고 있지만 용량 증설을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투입된 예산은 7억 원에 달한다.
김 위원장은 “세월호 때도 도마 위에 올랐던 표류예측시스템이 또 다시 무용지물이 됐다”며 “표류예측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집중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사고 다발 지역을 시작으로 하는 기능 강화와 예측 검증 등이 즉각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