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추자도 인근 해역에서 뒤집힌 돌고래호 참사는 인명 피해 이외에도 또 다른 의미의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너무 닮은 꼴이기 때문이다.
세월호와 돌고래호 참사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면 여객선과 낚시어선이란 차이, 사망-실종자 수의 차이, ‘관피아’-‘해피아’ 개입 여부의 차이, 대부분 사망-실종자 신분이 학생과 낚시꾼이란 차이. 발생 해역의 차이 등이 있을 뿐 이를 제외하면 사고와 관련 된 사항들은 여러 면에서 두 해난사고가 너무 닮았다.
우선 사고 발생 3일이 지나도록 당국이 정확한 승선 인원조차 몰라 허둥대는 점이 세월호 참사 때와 비슷하다, 돌고래호 전복 사고가 일어나자 해경 당국은 승선인원을 19명으로 추정했다가 이후 21명으로 수정했지만 7일 현재까지도 정확한 승선 인원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구조 늑장도 유사하다. 사고 발생-신고접수-인명 구조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너무 걸려 골든타임을 놓침으로써 사망 10명, 실종 8명으로 희생자가 많았다는 것이다. 생존자 3명을 구조한 것도 민간 어선들이다.
출항관리도 허술 했다. 승선자 명부에는 22명으로 기록돼 있지만 이중 13명만 배에 탔으며 4명은 승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명단에 없는 사람이 승선한 경우도 있어 출항시 탑승자 확인-점검조차 제대로 안 했다는 얘기다. 특히 소형 항구인 경우 출항 관리를 어촌계에 위탁하고 있다니 아직도 안전 불감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구명조끼 전원 착용 미 이행도 세월호와 다를 것이 없다. 탑승자들이 구명조끼 착용을 기피했다지만 의무적으로 입도록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 만약 구명조끼만 제대로 입었더라도 생존자는 더 늘었을 것이다. 벌써 세월호 참사를 잊어도 너무 잊었다.
지난해 4월, 304명이 사망-실종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자 국가 개조론을 거론하며 국민안전처까지 신설 한 정부가 아니던가. 그러나 그 후에도 크고 작은 사고들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끝내 돌고래호 참사까지 일어나고 말았다. 그리고 세월호 때와 마찬가지로 초기 인명 구조도, 정확한 승선인원 파악도, 사고 원인 규명도, 시신 수습도 늦어지기만 하고 있다. 세월호 때와 나아진 게 없다. 국내 안전망이 더 이상 위태로워서는 안 된다. 세월호 참사 당시로 되돌아가 안전망 구축을 새롭고 더 공고하게 구축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