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업체 분양 관련 정보 빼고 ‘비교불가’ 일방 적시

제주시 노형동 국민연립주택 재건축 사업에 뛰어든 한진중공업이 자사의 유리한 정보만을 홍보물에 게재, 빈축을 사고 있다. 대기업이 먼저 모범적이고 공정한 경쟁에 나서지 않고 지역기업을 상대로 ‘불공정한 게임’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건축조합 조합원 등에 따르면 한진중공업은 노형 국민연립주택 재건축 사업 시공사 선정을 위한 홍보물에 ‘한진중공업, 사업조건 압승’이라는 내용과 함께 사업에 뛰어든 타사와의 공사비 등을 비교한 표를 게재, 홍보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자사(한진중공업)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제시한 SK건설과의 비교치만을 놓고 ‘한진 월등’이라는 문구만을 넣고, 제주지역기업인 미듬종합건설인 경우 ‘비교불가’라는 문구와 비교항목에 없는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연매출을 표시하는 등 입맛에 맞고 유리한 내용만을 수록, 조합원들의 선택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입수한 각 사별 사업조건을 살펴보면 도급공사비인 경우 한진중공업은 3.3㎡당 476만원을, SK건설은 503만원, 미듬종합건설은 373만원을 제시했다. 이주비용 역시 한진은 7000만원, SK건설은 6000만원, 미듬종합건설은 8000만원을 제시했다. 이에 따른 공사비 차액은 최대 90억원으로 추산된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동수가 많지 않은 고층 건물인 경우 층이 낮고 동수가 많은 건물과 비교하면, 공사비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며 “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대기업이 제주지역민들의 이익은 뒤로 하고 자사의 이익만을 위해 재건축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행태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사비용인 경우 모든 기업이 홍보동영상과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세대당 200~300만원을 무상지급 하겠다고 제시했지만, 한진중공업인 경우 이사비용 300만원을 도급공사비에 포함시켜 놓고 있어, 논란도 예상된다.
여기에 한진중공업은 조합운영비 등을 포함하는 무이자대여금 80억원 지원도 제시했지만, 사업참여 제안서를 살펴보면 도급공사비에 ‘무이자대여금 금융비용(이자)’으로 포함시켜 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전체 공사비에 이 항목을 추가시킨 것으로 결국 무이자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조합측에 제공하는 대여금에 대한 금융비용(이자)은 도급업체에서 부담(무이자)을 하거나 공사비에 추가(이자)시키기는 하지만, 무이자대여금이라고 해놓고 공사비에 금융비용(이자) 항목을 끼워 넣은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노형 국민연립 재건축 사업에 뛰어든 업체는 제주 토종기업인 미듬종합건설과 대기업인 한진중공업, SK건설 등 3개 기업이다. 조합은 오는 5일 조합총회와 2차 합동설명회를 통해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