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가 사람과 동물 발자국 화석산지 보호를 위해 나서고 있지만 지역 주민의 반대에 막혀 제대로 된 주민설명회도 개최하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에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서귀포시는 지난 21일 사업비 45억원을 들여 안덕면 사계리와 대정읍 상모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464호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산지’에 대한 보호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2차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2차 주민설명회도 지난달 22일 1차 주민설명회에 이어 지역 주민의 거센 반발로 파행이 빚어졌다.
이날 참석한 지역 주민은 사계 어촌계에서 5명이 참여했고 상모리 어촌계의 경우 단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그나마 참석한 사계 어촌계도 예정된 주민설명회 시간이 지났지만 서귀포시가 추가 참석자들을 기다리며 진행하지 않자 이에 불만 등을 터트리며 자리를 박차고 돌아가 버렸다.
이후 서귀포시는 재차 연락을 통해 참석을 부탁한 상모리 어촌계에서 2명이 오자 이들에게 간단하게 수정된 계획안을 설명하고 주민설명회를 다음으로 미뤘다.
심지어 주민설명회에 왔던 사계·상모 어촌계원들은 1차 주민설명회와 마찬가지로 ‘원담 설치로 인한 해산물 채취 문제 발생’을 우려하며 무조건 반대라는 입장을 내비쳐 이곳 화석산지에 대한 보호계획은 전면 보류될 상황에 놓였다.
서귀포시는 이곳 화석산지가 고생물학과 고고학, 문화인류학 등의 학술 가치가 높고 희소가치가 있지만 해안가에 노출된 특성상 자연 풍화 침식으로 인한 소실 현상과 훼손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보호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힌바 있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는 해안가에서 60m 정도 벗어난 지점에서 폭 22m(경사형태), 높이 2.5m, 길이 519m의 원담을 설치하는 ‘발자국 화석산지 보호사업 계획(안)’을 마련해 이중 일부 구간인 30m 구간을 설치해 모니터링을 하겠다는 계획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1차 주민설명회에서 원담 설치를 반대하자 기존 폭을 22m에서 5m로 줄이고, 원담 구조도 콘크리트에서 돌담 형태로 변경하는 수정 계획안을 마련했지만 지역 주민에게 설명하지도 못했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가 보호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과의 상생을 위한 해결책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발자국 화석산지 보호사업은 일단 전체적으로 원담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을 설치해 2~3년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가 있으면 걷어내는 것”이라며 “하지만 지역 주민이 무조건 반대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등을 마련해 다음에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