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관광호텔의 공급 과잉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최대 성수기(盛需期)인 8월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올해만 127개의 객실이 과잉 공급될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발전연구원이 내놓은 ‘제주지역 관광숙박시설 수요공급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다.
연구진은 올해 8월 기준 1일(하루) 총 숙박관광객 수를 3만9700명으로 잡았다. 또 같은 기간 1일 필요객실 수를 1만150실로 추산했다. 여기에 전체 관광호텔에 대한 최종 예상 공급객실 수(지난해 9762실+목표연도별 객실 공급 실현율(50%) 수치) 1만277실을 적용한 결과 127실이 과잉(過剩) 공급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공급 과잉은 당초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것. 이를 토대로 유추해 보면 오는 2018년에는 최대 성수기인 8월에도 관광호텔 4300여 객실이 남아돌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숙박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약 79%가 현재 숙박시설이 많다고 답했고, 2016년 이후부턴 포화(飽和) 상태가 될 것이란 응답도 68%에 달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앞으로 제주시 노형동에 매머드급인 ‘드림타워’ 가 들어서는 등 대형호텔들이 속속 예정되어 있어 공급 과잉 문제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그리고 이로 인한 피해는 기존 영세숙박시설들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자칫 ‘관광호텔발 대란(大亂)’이 점쳐지는 이유다.
그렇다고 뾰족한 수도 없다. 제주도는 관광진흥기금의 관광숙박업 건설자금 융자지원 한도액을 낮추고 도시계획 조례 강화 등을 통해 숙박시설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에서 피해를 무릅쓰고 하겠다고 나서면 어찌할 방법이 없는 상태다.
이런 결과 뒤엔 행정에 대한 불신(不信)이 자리잡고 있다. 그것은 ‘당국의 말과 거꾸로만 하면 된다’는 극히 잘못된, 지난날의 뿌리 깊은 인식과 관행(慣行)에서 비롯된다.
이유야 어떻든 예견되는 피해를 줄이는 것은 행정의 몫이다. 따라서 제주자치도는 정확한 정보 제공과 함께 관광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차후의 결과를 뻔히 알면서도 대비책을 마련치 못하는 것 또한 행정의 직무유기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