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마라도 관광어항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다(본지 2015년 3월 13일 2면 보도)는 지적과 관련, 결국 문화재 보호라는 벽에 가로막혀 ‘물거품’됐다.
하지만 서귀포시가 국토 최남단 마라도 방문객의 안전을 위해 추진하려던 계획은 정비 사업으로 변경돼 추진된다.
4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마라도 관광어항(살레덕) 개발 사업 추진 여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마라도 해양생태 조사 용역’에 대한 결과가 나온 가운데 서귀포시가 문화재청에 요청한 개발 사업을 위한 문화재 현상변경허가가 불허됐다는 결정이 지난달 28일 통보됐다.
문화재청은 불허 이유에 대해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내 살레덕항 개발사업이 해역 준설에 따른 ‘저서성 무척추동물’과 ‘해조류’에 큰 영향을 주고 방파제 시설 등 인공구조물로 인한 문화재 보존 및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들었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는 문화재청의 불허 결정에 따라 궁여지책으로 ‘마라도 살레덕항 정비사업’으로 변경, 지난해 확보한 사업비 중 5억6000만원을 들여 물양장 증고, 진입로 옹벽보강, 거석 및 테트라포드 정비에 나선다.
애초 살레덕항 개발사업은 국토 최남단 마라도 방문객이 50만명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접안 시설에 문제가 발생, 주민과 관광객의 승·하선할 때 안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추진됐다.
2013년 12월 안전행정부의 도서개발 특수시책 사업의 목적으로 선정돼 지난해부터 2017년까지 국비 32억원과 지방비 8억원 등 모두 40억원을 투자하기로 해 지난해 사업비 5억7625만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서귀포시는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해 10월 문화재 현상변경 심의를 요청했지만 문화재청에서 안전도 중요하지만 천연기념물 지역에 대한 인위적 환경변화 요소 최소화도 중요하며 마라도 해양생태 조사 등을 보완 요구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 확보된 사업비 5억7625만원 중 5억6000만원은 정비 사업으로 전환하지만, 나머지 사업비 17억3000만원은 반납할 처지에 놓였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문화재청에서 최종적으로 살레덕항 개발 사업은 안된다는 통보를 해 왔다”며 “하지만 기존에 우려됐던 접안 문제 해결을 위해 정비 사업으로 전환하는 만큼 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