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가 ‘1~2청사 통합’ 계획을 ‘시 청사 재배치’로 변형해 추진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그동안 신시가지에 있는 제2청사를 서홍동에 위치한 제1청사와 통합키로 하고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최근 ‘청사 재배치’로 전환하고 있어 시민들이 의아해 하고 있다. 올해 제주도 제2회 추경예산안 및 기금운용 계획 변경안에도 신규 사업으로 ‘서귀포시 청사통합’이 아닌, ‘서귀포시 청사 재배치’에 따른 기본설계용역비’로 3억 원이 계상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귀포시 관계자는 “시청사 재배치용역의 대원칙은 ‘청사통합’이며 일부 용어의 변경에 관계없이 통합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청사 재배치를 통해 빈 공간으로 남게 될 제2청사에 내년 조직개편으로 신설될 에정인 문화관광스포츠 관련 기구를 두는 외에 나머지 공간들에는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 등 이른바 ‘이전 기관’의 임대 입주용으로 제공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잖아도 서귀포 혁신도시 이전 대상 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은 청사부지 매입예산난 등을 이유로 현지 입주를 계속 미루어 왔다. 심지어 제주도 당국이 이들 기관에 청사 부지 매입비 50억 원을 지원할 움직임을 보이자 “왜 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을 상전(上典) 모시듯 하느냐”는 반발까지 산적이 있다.
결국 도의회의 부결로 성사 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서귀포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청사 재배치 사업 계획도 변형된 제2의 상전모시기 전략이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혁신도시 이전기관들이 “부지매입비가 없어 입주를 못 하겠다”면 “오지 말라”하면 될 일이다, 많은 예산을 들여 시청사를 재배치하면서까지
모셔오기에 급급할 이유가 없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