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가 최근 전국 19개 시·도 소방본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행복 안전정책’ 평가 결과를 내놨다. 평가는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추진 실적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전국 19개 소방본부 중 13위를 기록했다. 분야별 평가 점수를 보면 제주의 경우 대부분 하위권에 머물렀다. 소방행정과 생활안전이 전국 17위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응 16위, 나머지 부문은 전국 7위~12위에 그쳤다.
이에 따라 국민행복 안전정책 달성률은 78.6%에 불과했고, 달성도 80% 미만 부진 지표도 21개로 전체의 47.7%를 차지하면서 체면을 크게 구겼다. 이 같은 결과는 미진한 부분에 대한 개선노력이 부족한데다 본부와 소방서간 유기적 협업체계도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제주경찰의 치안대책(능력)은 소방보다 더 미덥지 못하다. 경찰청이 ‘체감 안전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주경찰청은 61.9점으로 전체 평균인 66.7점을 밑돌면서 전국 16개 지방청 중 꼴찌를 기록한 바 있기 때문이다.
제주자치도가 ‘국제안전도시’를 표방한지는 꽤 오래다. 그런데 그 중심축인 치안과 소방이 이처럼 허술하고 불안해서야 그 누구가 이를 믿으려 하겠는가. 도민들의 불신이 더욱 깊어지기 전에 관련당국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제안전도시’는 허황된 말이 아니라 장기적인 계획과 지속적인 실천에 달려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