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국공립·공공형 2개 체계 바람직”
“어린이집 국공립·공공형 2개 체계 바람직”
  • 박수진 기자
  • 승인 2015.0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영태 연구위원 “민간·가정 등 기존 7개 유형 개선 대책 차원”

제주도 보육환경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을 통합하는 등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발전연구원 정영태 전문연구위원은 이날 제주농업인회관에서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어린이집연합회 등이 주관한 ‘2015 제주 가정-민간 보육환경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위원은 “현재 도내에는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민간, 가정 직장 등 7개 유형의 어린이집이 운영되고 있다”며 “운영주체가 다양하다보니 시간제보육, 야간보육, 휴일보육 등 요구사항이 가중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 위원은 이어 “이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공립, 공공형 등으로 유형을 줄일필요가 있다”면서 “제주지역 차원에서라도,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은 “저출산으로, 문을 닫는 어린이집이 하나 둘씩 늘고 있다”며 “인구변화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어린이집을 통합하는 등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보육료 지원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어린이집정보공개포털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는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공개와 맞물려, 부모의 선택권을 보장받을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