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인상으로 흡연예방교육 예산 급증
담뱃값 인상으로 흡연예방교육 예산 급증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5.0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선 학교들 지출방도 찾지 못해 ‘난감’

담뱃값 인상으로 정부가 내려 보내는 흡연예방 교육 예산이 급증, 일부 학교들이 예산 처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강연과 캠페인 외에 마땅한 집행 처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14일 교육당국에 따르면 올해 제주도교육청에 교부된 흡연예방 교육 예산은 6억 4800만원으로 지난해 7700만원보다 9배 가까이 늘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도내 187개 초·중·고에 학교당 적게는 150만원에서 많게는 1000만원까지 예산을 배부했다.

그러나 일부 학교들은 예산이 학기 중인 5월에 교부된 데다 목적에 비해 과도한 액수가 배정되면서 지출 방도를 찾지 못해 난감해 하는 상황이다.

실제, 흡연예방 교육 심화학교로 지정돼 올해 1000만원을 지원받은 도내 한 고등학교는 퀴즈와 그림·글짓기 행사를 통한 경품 증정, 금연 성공 시 상금 제공 등의 사업으로 예산의 상당 부분을 소화하고 있다.

특히 예산의 55%를 ‘교육'에 사용해야 하는 지침을 준수해야 하지만, 생들이 입시 준비로 바쁜 현실 여건상 보건 소식지와 복도 및 게시판을 이용한 간접 교육 방식을 선택하면서 교육의 효율도 다소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해당 고교 관계자는 "돈은 내려오고 예방교육은 해야 하는데 우리 학교는 흡연 학생이 많지 않아 적절한 지출 방안을 궁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흡연예방 교육의 과도한 예산 문제는 14일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의 제주도교육비특별회계 1차 추경 예산안 심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홍경희 의원은 "예산이 뒤늦게 배정되면서 교육의 효과가 학생들에게 잘 전달될지 모르겠다"며 "일부 학교들은 써야 할 돈은 많은데 기본적인 강사진 확보에서 조차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흡연예방 교육은 단순 강연 외에도 참여형 수업 등으로 다양하게 꾸릴 수 있고, 금연교육과 달리 잠재 흡연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진행된다"며 "예산이 많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고 일축했다.

다만 "강사진 확보가 어렵다는 목소리에는 충분히 공감한다"며 "교장 등 교사들이 연수과정을 이수해 아이들을 직접 교육하는 방안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