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숙박시설 급증 영향…“객실수 제한 완화해야”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영업부진에 업종을 전환하거나 문을 닫는 휴양펜션이 속출하고 있다.
도내 농어업인 소득 창출과 지역자본의 관광개발사업 참여를 위해 도입한 휴양펜션업이 관광산업 호황 국면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행정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현재까지 폐업한 휴양펜션은 모두 11개소(제주시 7곳, 서귀포시 4곳)로 집계됐다. 2013년 전무했던 폐업은 지난해(7곳)부터 잇따르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도내 휴양펜션은 84개소(제주시 38곳, 서귀포시 46곳). 전체 업소의 13%가 이후 사라진 셈이다.
폐업사유는 건물철거 2건, 사업장 매각 4건, 가족호텔 등 업종 전환 3건, 영업부진 2건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휴양펜션 폐업이 속출하는 것은 최근 도내 관광객 증가에 따라 호스텔 등 관광숙박업소가 늘어나면서 경영난에 직면한 업소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제주 토종 숙박업소가 관광객 증가에 따른 수혜는 고사하고 오히려 역풍을 맞고 있는 것이다.
휴양펜션은 숙박·취사와 체험농장(목장) 등 시설을 갖춘 숙박업소로 제주특별법에 근거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에서 시행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객실 수 및 면적 제한으로 다양한 고객유치 전략을 쓸 수 없는 점을 휴양펜션 경쟁력 약화의 주요 요인으로 꼽고 있다.
휴양펜션 등록기준 객실 수는 10실 이하, 객실 면적은 25~100㎡ 이하다. 경쟁대상인 호스텔(20실 이하)과 가족호텔(30실), 휴양콘도(50실)에 비해 객실 수가 훨씬 적다.
김용삼 제주도휴양펜션업협회장(돌과바람휴양펜션 대표)은 “휴양펜션이 대규모 자본 관광호텔과 호스텔 및 가족호텔 등 신종 숙박시설 틈바구니에 끼어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며 “활로를 열기 위해서는 객실 수 및 면적 제한 완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또 “관광진흥기금 융자 지원을 하고 있으나 이율이 시중 금리와 거의 차이가 없는 데다 지원 절차가 번거로워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며 “휴양펜션 운영자가 1차산업 종사자임을 감안해 전기료 감면 등 다양한 행·재정적 지원이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