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해수욕장이 일제히 개장한 가운데 피서객들 안전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장(開場)에도 불구 아직껏 안전관리 요원을 전부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도내 11개 지정 해수욕장에 필요한 안전관리 인력은 모두 230명. 관련 공무원을 제외한 민간관리요원 106명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해수욕장에 배치된 인력은 제주시(40명)와 서귀포시(31명)를 합쳐 71명에 불과하다.
제주시는 추가로 35명을 채용하고 있으나 겨우 16명만 확보했을 뿐, 인명구조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드물어 나머지 인력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서귀포시는 31명을 전부 채우긴 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일반 안전관리 16명은 인명구조 자격이 없는 이들로 사고(事故) 발생시 제대로운 대처가 이뤄질지 의문이다.
이 같은 상황은 그동안 안전사고 책임을 도맡았던 해경(海警)이 전격 해체된데 기인한다. 해경은 지난해 정부조직법 개편으로 해경안전서로 바뀌면서 업무범위가 ‘해상(海上)’으로 제한되어 이미 한발을 뺀 상태다.
지난해 여름철(6~9월) 도내 해수욕장에서 발생한 물놀이 사고는 모두 35건. 이 중 1명이 숨지고 나머지는 해경의 구조활동에 힘입어 목숨을 건졌다. 과연 비전문 인력이 많은 민간 관리요원 만으로 해경과 같은 기능과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선다. 올 여름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는데도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게 더욱 큰 문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