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사각지대로 내몰린 피서객
안전 사각지대로 내몰린 피서객
  • 김동은 기자
  • 승인 2015.0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제 해수욕장 일제 개장
안전관리 요원 확보 미흡

제주지역 지정 해수욕장이 일제히 개장했지만 안전관리 요원을 전부 확보하지 못하면서 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행정의 늑장 대응이 올 여름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들을 안전 사각지대로 몰아넣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11개 지정 해수욕장에 필요한 안전관리 인력은 230명으로, 해경·행정·소방·보건·경찰 등을 제외한 민간 안전관리 요원은 106명이다.

이 가운데 제주시는 1차 모집을 통해 인명구조 자격증을 소지한 일반 안전관리 요원 40명을 채용, 각 해수욕장에 배치했다.

그런데 제주시는 2차 모집을 통해 전문 안전관리 요원 35명을 추가로 채용하기로 했지만 현재 16명만 확보된 상태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추가 모집 등을 통해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지만 인명구조 자격증을 가진 사람들이 드물어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귀포시의 경우 전문 안전관리 요원 15명과 일반 안전관리 16명을 모두 채용했으나 일반 안전관리 요원이 인명구조 자격이 없는 이들로 채워지면서 피서객들의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처럼 피서객들의 안전을 책임질 기본적인 안전관리 요원 조차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면서 행정의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광객 양모(38·대구)씨는 “해수욕장에서 물놀이를 즐기다가도 막상 사고가 났을 때 도와줄 수 있는 안전관리 요원을 전부 확보하지 못했다고 하니 불안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제주시 관계자는 “전문 안전관리 요원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지원자가 부족하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며 “추가 모집 등을 통해 전문 인전관리 요원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해양경비안전서는 해수욕장 개장을 맞아 피서객들의 안전을 위해 제주시내 7개 해수욕장(이호·곽지·협재·금능·김녕·함덕·삼양)에 수상레저활동 금지구역을 지정·운영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