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리병원 도입 여론조사 결과 공개
제주도민 10명 중 7명이 중국 녹지그룹의 제주 영리병원 설립 추진에 대해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와 제주도민운동본부는 1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 영리병원 도입 여론조사를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운동본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19세 이상 제주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영리병원 허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74.7%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15.9%에 불과했다.
반대하는 이유로는 ‘중국의 대대적인 제주 투자 확대로 발생하는 문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59.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리병원을 지으면 병원비가 비싸지기 때문’(16.6%), ‘영리병원은 건강보험 적용되지 않기 때문 때문’(11.5%), ‘성형외과나 건강검진 병원도 이미 많기 때문’(8.8%) 등의 순이었다.
영리병원을 찬성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0.1%가 ‘의료 관광을 위한 병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 뒤를 이어 ‘제주도에 병원이 더 필요하기 때문’(30.2%), ‘제주도에서 추진하기 때문’(9.1%), ‘영리병원에 찬성하기 때문’(8.2%) 등이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9.1%가 영리병원에 대해 알고 있으며, 87.8%는 영리병원 추진에 앞서 도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와 같은 사전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헬스케어타운 사업 추진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5.4%가 도민을 위한 비영리병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답했고, 헬스케어타운 사업 자체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41.2%를 차지했다.
반면 지금의 계획대로 미용 중심의 영리병원을 운영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는 의견은 7.0%에 그쳤다.
운동본부는 “제주 영리병원에 대한 도민들의 압도적 반대가 확인됐다”며 “특히 여론조사 결과는 특정 계층만이 아니라 성별·연령별·지역·직업별로도 큰 차이가 었었다”고 밝혔다.
이어 “녹지그룹은 ‘대한민국 1호’ 영리병원을 설립한 기업이라는 오점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며 “대신 제주도민과 상생하고 공공의료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운동본부는 “박근혜 정부는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빌미로 의료민영화를 강행해서는 안 된다”며 “원희룡 지사 역시 제주 영리병원 추진 중단을 선언하는 것이 도민에 대한 예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