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항 경제효과 ‘반신반의’
크루즈항 경제효과 ‘반신반의’
  • 고권봉 기자
  • 승인 2015.0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 강정 크루즈 터미널 운영지원 시설 조성 주민설명회
주민 “해군서 입·출항 허가·지역경제활성화 의문”
元 “각종 사업·편의·문화시설 등 이익 최대한 보장”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강정마을 주민 반대로 7개월 넘게 중단된 크루즈터미널 사업 재개 등을 위한 주민 달래기에 나서 절반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정마을회가 오는 30일 강정마을회관 매각과 크루즈터미널 조성사업에 대한 주민 수용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9일 서귀포시 강정동 강정마을의례회관에서 지난해 12월 17일 중단된 ‘서귀포 크루즈터미널 및 운영지원시설’ 조성사업 재개를 위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민설명회에서 마을 주민들은 크루즈터미널 조성사업과 제주 크루즈선 입항 현황에 대한 제주도의 설명을 들은 후 그동안 쌓였던 궁금증과 울분을 쏟아냈다.

강모씨는 “지금 강정 마을 주민들은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해군기지 건설로 마을 밭이 없어져 평생 농사만 지어온 저희들은 길을 좋게 뽑아도, 크루즈터미널이 생겨 많은 이들이 찾아와도 살아갈 방법이 없어 울화통이 터진다”고 토로했다.

홍모씨는 “강정 크루즈터미널은 해군기지 항에 있기 때문에 군 통제에 따라 선박 입·출항 여부가 결정되는 데 과연 해군에서 자유로운 입·출항을 허가해줄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다른 주민은 “일본 요코하마를 방문해 크루즈터미널로 경제적 효과를 보고 있느냐고 하니 전혀 없다고 했다”며 “자동차로 동경까지 40분, 후지산도 40분 정도 걸려 다들 그곳으로 가버리는 실정이어서 강정에서도 그러지 말라는 법은 없다”고 크루즈터미널로 인한 지역 경기 활성화에 의문을 제기했다.

윤모씨는 “크루즈터미널 주민편의시설에 회센터와 어린이공부방 등이 계획됐는데 (주민을 대상으로) 장난치지 말아야 한다”며 “200일을 크루즈터미널로 이용한다고 하는데 나머지 160일은 어떻게 할 것이냐”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원 지사는 “제주신항은 20~3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항만계획이며 현재 제주로 오려는 크루즈 선박에 대한 수요는 제주항과 강정항을 채우고도 남는다”며 “각종 상업시설과 편의·문화시설 등 강정 주민의 이익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강정마을 주민이 인정하지 않은 발전계획은 전부 다 지연시킨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계획에 대해 논의를 하자고 하는 것”이라며 “필요하면 전문가들을 상주시켜서라도 강정마을을 위한 발전 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주민간의 의견 다툼으로 고성이 오가는 등 작은 소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강정마을회는 오는 30일 임시총회를 열고 크루즈터미널 및 운영지원시설 사업 재추진 여부와 강정 마을회관 등 마을 재산 매각 여부 등을 안건으로 처리할 계획이다.

한편, 서귀포 크루즈터미널 및 친수공원 조성 사업은 민군복합형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 내 연면적 6461㎡의 터미널 1동과 연면적 1327㎡(3층) 주민편익시설 1동, 친수공원 1식, 계류시설 및 항만진입도로 401m(폭 25m) 개설 등을 하는 것이다.

애초 조성 사업은 사업비 534억원(전액 국비)을 들여 지난해 6월부터 내년 6월까지 계획됐지만 강정마을 내 해군 아파트 건설을 두고 해군과 해군기지 건립 반대 주민들이 마찰, 지난해 12월 17일 중단된 상황이다.

제주도는 공사기간을 내년 12월 28일까지로 연기,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