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시가 혈세 4억원을 들여 만든 야(夜)시장이 전형적인 탁상행정식의 ‘혈세 낭비’ 사업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찾는 이가 없어 중문 불란지 야시장 점포 12군데 중 현재 4곳만 운영되며 5개월 넘게 개점휴업 상태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는 지난 1월 사업비 4억원(전액 지방비)을 들여 중문오일시장 주차장 부지 내에서 추진한 ‘서귀포 중문관광 야시장 조성공사’를 마무리하고 도내 첫 야시장인 ‘중문 불란지 야시장’을 개장했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는 불란지 야시장에 식당 8곳과 소매점 4곳 등 모두 12개 점포가 매일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운영,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게 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특히 서귀포시는 야간 관광의 백미인 야시장을 통해 야간관광 활성화와 골목상권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전부 잡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개장한 지 5개월이 넘게 지났지만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하며 문을 닫은 점포만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야시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점포는 12곳 중 식당 3곳과 소매점 1곳 등 모두 4곳에 그치고 있다. 판매점 3곳은 텅 비어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한 입점 상인은 “야시장이 개장한 지 5개월이 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자리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어 문을 연 점포마저도 문을 닫고 있다”며 “매장 안이 좁은 것은 둘 째 치고 서귀포시가 상가 앞 주차장에 만들어주기로 한 목재 데크 시설도 설치되지 않아 손님 유인책도 없어 답답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사정이 이런데도 서귀포시는 민간 위탁운영을 맡긴 야시장에 대한 뚜렷한 개선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빈축마저 사고 있다.
이에 대해 서귀포시 관계자는 “중문 야시장을 살리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활성화에 어려움이 많다”며 “야시장 목재 데크 시설은 상인들에게 검토해보겠다고 한 것으로 오일시장 주차장 이용으로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